earticle

논문검색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organizational silence, and turnover intention of lifelong educators :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ing period

원문정보

평생교육사의 감성지능, 조직침묵,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근무기간의 조절효과

Dae-Myung, Kim, Kae-Hwan, Yoo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organizational silence, and turnover intention of lifelong educators. And at this time, it was intended to check whether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working period of lifelong educators.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on 350 lifelong educators in lifelong learning cities. The research question i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organizational silence, and turnover intention? Second, does organizational silence mediate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urnover intention? Third, is there an effec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working period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organizational silence, and turnover intention? It was set t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d the AMO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silence and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sil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silence had an indirect mediating effect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urnover intention.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the brushstrap procedur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working period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organizational silence, and turnover inten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plan to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of lifelong educators working in the public sector.

한국어

이 연구는 평생교육사의 감성지능, 조직침묵,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때 평생교육사들의 근무기간에 따른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생학습도시의 평생교육사 35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감성지능, 조직침묵, 이직의도 간에는 어떠한 관계인가?, 둘째, 조직침묵 은 감성지능과 이직의도 사이에서 매개하는가?, 셋째, 감성지능, 조직침묵, 이직의도 간 구 조적 관계에서 근무기간의 차이에 따른 효과가 있는가? 로 설정하였다.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성지능은 조직침묵과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었으며, 조직침묵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조직침묵은 감성지능과 이직의도 사이에서 간접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매개효과의 검증은 붓스트랩 절차를 통하여 확인하였 다. 셋째, 감성지능, 조직침묵, 이직의도의 구조적 관계에서 근무기간에 따른 유의한 조절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영역에서 근무하는 평생교육사의 이직의도를 낮 추는 방안을 강구하는 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감성지능
2. 조직침묵
3. 이직의도
4. 감성지능, 조직침묵, 이직의도와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감성지능, 조직침묵, 이직의도 사이의 상관관계
2. 측정모형의 검증
3. 연구모형의 검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Dae-Myung, Kim 김대명. Suncheon Jeil College
  • Kae-Hwan, Yoo 유계환. Mokpo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