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sign Methodology and Education System of Graduation Projects based on Transmedia Storytelling
초록
영어
The rapid development of media makes it possible for the boundaries between media to disappear and to deliver content in a differentiated way from the existing method. As the methods of experiencing, converging, sharing, and enjoying contents are becoming diversified, new structural changes are emerging in communi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has an in-depth theoretical system for the creative methodology of transmedia storytelling.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design methodology and a design education system that allow us to experience the extension of contents by experimenting and verifying the graduation projects completed by apply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transmedia storytelling and the methods of media utilization. The scope of the case analysis was limited to the actual production case of the graduation project based on transmedia storytelling, and the content expansion and design system using various media platforms were analyzed based on the actual outcome of the graduation projects. As a result of the study, when carrying out the graduation projects based on transmedia storytelling, we focus on what content, which media platform is used, and in which context to deliver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nd operate content specific to the media. Access to individual content was made possible, but organic content expansion was made possible. In addition, the content divided into various media platforms are designed to have a circulation structure that contributes to the overall macroscopic story while having independent power as individual contents, so that one worldview can be understood in the diversity of stories. The graduation projects based on transmedia storytelling leads to the expansion of contents through a change in various ways of thinking educationally, looks at media with a critical eye, and helps to plan and operate the projects in a self-directed way from one's own point of view.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build a new design education system.
한국어
급속한 미디어의 발전으로 미디어 간의 경계가 사라 지고 이전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콘텐츠를 전달하고, 경험하고, 융합하고, 공유하고, 향유하는 방식이 다양해 지면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구조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라는 창작 방법론에 대한 심도 있는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 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제작과정과 미디어 활 용방식을 차용한 졸업프로젝트를 실험·검증하여 콘텐츠 의 확장을 경험할 수 있는 디자인 방법론과 디자인 교 육 체계를 구축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사례 분석 대상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 로젝트의 실제 제작사례로 그 범위를 한정하였고, 졸업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한 콘텐츠 확장과 디자인 체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 로젝트 진행 시, 미디어의 특성을 파악하고 해당 미디 어에 특화된 콘텐츠를 운용하기 위해, 어떠한 콘텐츠 를, 어떤 미디어 플랫폼을 사용하여, 어떤 맥락에서 전 달할 것인지에 초점을 맞춰 매체별 개별 콘텐츠로의 접 근을 가능하게 하되 유기적인 콘텐츠의 확장을 경험하 도록 하였다. 또한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으로 분절된 콘텐츠는 개별 콘텐츠로서 독립적인 힘을 가지면서도 전체의 거시적 스토리에 기여하는 순환 구조를 가지도 록 설계하여 스토리의 다양함 속에서 하나의 세계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로젝트는 다양한 사고의 전환을 통 해 콘텐츠의 확장을 이끌어내고, 미디어를 비평적인 안 목으로 바라보며 자신의 관점에서 자기주도적으로 프로 젝트를 기획·운용하는데 도움이 되므로 새로운 디자인 교육 체계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특징
2.2.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성요소
2.3.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설계와 다중감각
3.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기반의 교육 사례
3.1. 졸업프로젝트 교과목 분석 및 사례 분석대상
3.2.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졸업프로젝트 사례 분석
3.3. 사례 분석 종합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