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German Curriculum
초록
영어
The statement
한국어
본 연구는 독일어 교육과정 <성취기준>진술의 분류 및 분석을 목표로 한다. 교육 과정 구성항목 중 <성취기준>은 <목표>와 더불어 교육과정의 핵심영역으로 간주되 는데, 이는 독일어 교육과정의 <목표>가 독일어 교과의 지향점이라면, <성취기준> 은 독일어를 배우는 학습자가 추구해야 할 지향점이자 독일어 교과가 다루어야 할 바 를 제시하기 때문이다. 독일어 교육과정에서 <성취기준>은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에 도입되어 2022 개정 독일어 교육과정에 이르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독일어 교육과정, 2015 개정 독일어 교육과정 그리고 2022 개정 독일어 교육과정 에 이르는 각 교육과정 시기의 <성취기준>진술을 분류하고 분석함으로써 독일어 교 육과정의 흐름과 발전경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Bloom(1956) 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고, Anderson(2001)에 의해 실용적으로 재구성된 ‘신 교육목표 분류체계’를 객관적인 분석틀로 삼고자 한다. 2009 개정 독일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의 문장 수는 총 42개, 분석항목 수는 82개로 나타났고, 2015 개정 독일어 교육과 정 <성취기준>진술의 경우 총 16개 문장, 분석항목은 28개이다. 2022 개정 독일어 교 육과정 <성취기준>진술은 18개 문장으로 구성되었고, 31개의 분석항목으로 집계되 었다. 종합분석 결과 세 시기의 독일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모두 ‘지식차원’에서는 ‘절차적 지식’이,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3. 적용하다’가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목차
Ⅰ. 이끄는 말
Ⅱ. 신 교육목표 분류체계의 발전
1. Bloom의 ‘교육목표 분류체계’
2. Anderson의 ‘신 교육목표 분류체계’
Ⅲ. 독일어 교육과정 <성취기준>진술 분석
1. 분석대상
2. 분석방법 및 분석틀
3. 분석결과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