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스코핑 방법 활용 결혼이주여성의 경제활동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Economic Activity Research Trends of Married Immigrant Woman Using Scoping Review Method

남정연, 김영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the economic activities of married migrant women. As a research method, the Scoping Review Method, one of the methods of reviewing literature, was used, and the research topics by year, journal, field, research participant, and research method were examined. To this end, related keywords were searched from 2006 to 2022, and only papers published o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KCI) were subject to analysis. The final selection of papers was 95 pap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umber of studies that repeatedly increased and decreased, starting with the first one in 2006, was the most published in 2016, and then decreased slightly. More than half of the research was published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64.2%), and many of them were general fields of social science.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studies (40%) that studied economic activity experience was high, and Vietnamese nationality was the highest in the current status of study participants by country of origin.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these basic studies, subject-specific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future tasks related to the economic activities of married migrant women.

한국어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경제활동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 방법 중 하나인 스코핑 고찰 방법을 사용하였다. 특히 연 도별, 학술지별, 분야별, 연구참여자별, 연구방법별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 하였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22년까지 관련 주제어를 검색하는 데 있어서 한국연 구재단등재지(KCI)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선정된 논문은 95편이었으며, 이를 분석한 결과, 2006년 1편을 시작으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던 연구는 2016년 가 장 많은 연구가 발표되었고, 이후 소폭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과학 분야에서 절반 이상(64.2%)의 연구가 발표되었으며, 그중 사회과학 일반 분야가 많았다. 경제활 동 경험을 연구한 질적연구는 40%대의 비중을 보였고, 연구참여자의 출신국가별 현황 은 베트남 국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본적인 연구 현황을 바탕으로 주제별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분석결과 실천적 및 지원적 측면의 두 가지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실천적 측면에는 ‘경제활동 실태 및 태도’ 32편(33.68%), ‘취업 욕구 및 경 험’ 9편(9.47%), ‘취업결정 및 현황’ 18편(18.95)이, 지원적 측면에는 ‘경제활동 정책 개 선’ 24편(25.26%), ‘취업요구’ 3편(3.17%), ‘역량강화’ 9편(9.47%)이 포함되었다. 결과 분석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경제활동 관련 연구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질문 설정
2. 관련 연구 확인
3. 연구물 선택
4. 자료 기록
5. 결과 수집, 요약, 보고
Ⅲ. 연구결과
1. 연구의 기본동향
2. 연구주제분석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남정연 Nam, Jeong Yeon. 인하대학교 다문화교육학과 박사수료
  • 김영순 Kim, Youngsoon. 인하대학교 다문화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