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문화 선진국의 ‘상호문화교실 만들기’ 비교 연구 및 시사점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f Building an Intercultural Classroom of Advanced Multicultural Countries and Its Implication

장한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uth Korea has a relatively low percentage of stud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accounting for 3.2% of the total number of student population.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is percentage will rise due to an increase in the migrant population and a decline in the birth rate. Many stud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face various challenges, such as limited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lower academic performance, distinctive physical appearances and challenging family situations. These difficulties not only negatively impact stud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but also the majority of Korean students. The existing countermeasures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Center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re considered too vague and abstract to provide sufficient support to schools and teachers.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ractical implication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four different guidelines: Intercultural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of Ireland, Here Comes Everyone of Canada, The Use of a Multidimensional Support Model of Canada and Navigating Intercultural Issues in the Classroom of Australia.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Office Of Education develop a more concrete guideline of ‘Building an intercultural classroom’ to better assist schools and teachers.

한국어

한국은 이주배경학생의 비율이 3.2%로 다문화 선진국**에 비해 많이 낮은 편이다. 하지만 이민자의 증가와 한국인의 매우 낮은 출산율로 인해 이들의 비율을 점증할 전 망이다. 이주배경학생 중 상당수는 어눌한 한국어, 낮은 성적, 남다른 외모, 어려운 가 정환경 등으로 일반 학생으로부터 무시받거나 차별받고 있다. 장기적으로 볼 때, 이런 현상은 이들뿐만 아니라 일반 학생에게도 결코 이롭지 않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학교 와 교사에게 적절한 지침을 제공해야 하는데 현재의 교육부나 중앙다문화교육센터 (National Center for Multi-cultural Education)가 제공하는 지침은 너무나 추상적이어 서 학교나 교사에게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아일랜드,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와 같은 다문화 선진국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 세 나라는 Intercultural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아일랜드) Here Comes Everyone와 The Use of a Multidimensional Support Model(캐나다), Navigating Intercultural Issues in the Classroom(오스트레일리아)라는 지침서를 통해 학교와 교사에게 상당히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능한 빨리 교육부나 교육청이 이 지침서 들을 토대로 좀 더 구체적인 ‘상호문화교실 만들기’ 지침을 만들어 학교와 교사들에게 제공하길 제안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다문화 선진국의 ‘상호문화교실 만들기’
1. 아일랜드의 Intercultural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
2. 캐나다 앨버타 주 Here Comes Everyone – Teaching in the Intercultural Classroom
3. 캐나다 The Use of a Multidimensional Support Model...
4.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 Navigating Intercultural Issues in the Classroom
Ⅲ.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한업 Han-Up JANG.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