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ffect of Care Food HMR Selectivity on Food Nutrition Labeling Perception and Satisfaction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food nutrition labeling and consumer satisfaction with care food HMR selection attribut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6, 2023 to June 11, 2023 targeting adult consumers aged 20 or older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who had experience purchasing Care Food HMR. Out of a total of 247 questionnaires, a total of 240 questionnaires were empirically analyzed, excluding 7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answers,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are food HMR selection attributes, taste, nutrition, convenience, diversity, and cost-effectiveness, ‘nutrition component’ and ‘cost-performance rati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food nutrition labeling. Second, among the HMR selection attributes of care food, 'nutritive ingredients' and 'convenience' and 'divers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Third, 'Food Nutrition Label Recogni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knowledge for the growth of the Care Food HMR food market, and are considered to be useful information for companies aware of the importance of food nutrition labeling.
한국어
본 연구는 케어푸드 HMR 선택속성이 식품 영양표시 인식 및 소비자들의 만족도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케어푸드 HMR의 구입 경험이 있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20세 이상 성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2023년 2월 16일부터 2023년 6월 11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247부의 설문 중 답변이 불성실한 7부를 제외하고, 총 240부를 실증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케어푸드 HMR 선택속성 맛, 영양성분, 편의성, 다양성, 가성비 중 ‘영양성분’과 ‘가성비’는 식품영양표시 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케어푸드 HMR 선택속성 중 ‘영양성분’과 ‘편의성’, ‘다양성’은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식품영양 표시 인식’은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케어푸드 HMR 식품의 시장 성장에 있어 기초 지식으로 제공하 며, 식품 영양표시의 중요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기업들에게 유익한 정보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케어푸드 HMR 선택속성
2.2 식품영양표시
2.3 만족도
Ⅲ. 연구설계
3.1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3.2 조작적 정의 및 설문지 구성
3.3 조사방법과 조사기간
Ⅳ. 실증분석
4.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이용특성
4.2 타당성과 신뢰도 분석
4.3 상관분석
4.4 가설의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