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브랜드 이미지와 모델이미지 및 광고카피의 맥락이 화장품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Brand Image, Model Image and Context of Advertising Copy on Cosmetic Advertising

여영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context effect in cosmetics advertisements by examining the cosmetics advertisement effect according to whether the brand image and the model image matched, and whether the brand image and the advertisement copy were harmoniously perceived.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brand value type (3) × advertisement copy type (3) factorial desig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advertising effect according to the matching of the cosmetic brand image and the model image, it was found that both the advertising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significantly high when the model image and the brand image matched. Second, it was confirm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dvertisement effect according to whether the cosmetic brand image and copy type matched. As a result, consumers who perceived that the cosmetic brand image and copy type matched had significantly higher advertising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than consumers who perceived that the copy type did not match.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rovide validity as to whether the copy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by incorporating the context effect when setting up a copy strategy for cosmetics advertisements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브랜드 이미지와 모델 이미지 일치여부에 따른 화장품 광고효과와 브랜드 이미지와 광고 카피 간을 조화롭게 지각하느냐 여부에 따른 화장품 광고효과를 알아봄으로써, 화장품 광고에서 맥락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브랜드 가치유형(3)×광고카피유형(3) 요인설계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와 모델 이미지의 일치여부에 따른 광고효과를 확인한 결과, 모델의 이미지와 브랜드의 이미 지가 일치할 때 광고태도와 구매의도가 모두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와 카피유형의 일치도 지각여부에 따라 광고효과에서 차이가 있는 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와 카피유형이 일치한다고 지각하는 소비자들이 불일치한다고 지각하는 소비자에 비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가 모두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화장품 광고 카피 전략을 세울 때맥락효과를 접목하여 카피전략을 세워야 하는가에 대한 타당성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문헌 분석
2.1 광고맥락효과
2.2 광고모델-광고맥락 일치
2.3 광고카피-광고맥락 일치
2.4 연구가설
3. 방법
3.1 실험설계 및 피험자
3.2 실험 자극물
3.3 측정도구
3.4. 자료분석
4. 연구결과
4.1 브랜드 이미지와 모델 이미지 일치도에 따른 광고효과
4.2 브랜드 이미지와 카피유형의 일치도에 따른 광고효과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여영준 Young-Jun Yeo.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학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