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Direction of Residential Life Education in the Neolithic Age : the Harmony of Historical Inquiry and Imagination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of residential life education in the Neolithic age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residential life education in the Neolithic age using historical inquiry and imaginative understanding as a solution. The results of textbook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related to residential life in the Neolithic age has reproduced inappropriate stereotypes. Second, in this process, our history education has neglected the important nature of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such as historical inquiry and imaginative understanding. In this regard, the following two solutions to this problem were proposed. First, it was propos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textbook description of residential life in the Neolithic age. Second, the direction of residential life instruction in the Neolithic Age using historical inquiry and imaginative understanding was proposed. Specifically, it presented the direction of historical inquiry using what is left behind, an imaginary understanding for what is not left behind, that is, “harmonization of historical inquiry and imaginative understanding.”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cornerstone and not as “history education that reproduces stereotypes,” but as “history education as an imaginative understanding based on history inquir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신석기시대 주거생활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역사 탐구와 상상적 이해를 활용한 신석기시대 주거생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교과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그동안 신석기시대 주거생활 관련 교육은 적합하지 않은 고정관념을 재생산해왔다. 둘째, 이 과정에 서 우리 역사교육은 역사 탐구와 상상적 이해라는 역사학 및 역사교육의 중요한 본질을 도외시해왔다. 관련 하여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다음의 두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신석기시대 주거생활에 관한 교과서 서 술의 방향 전환을 제안하였다. 둘째, 역사 탐구 및 상상적 이해를 활용한 신석기시대 주거생활 수업의 방향성 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남겨진 것들을 활용한 역사 탐구, 남겨지지 않은 것들을 위한 상상적 이해, 즉 ‘역 사 탐구와 상상적 이해의 조화’라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초석이 되어 ‘고정관념을 재생산하는 역 사교육’이 아닌, ‘역사 탐구를 토대로 한 상상적 이해로서의 역사교육’이 이루어져 나가길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I. 들어가며: 신석기시대 주거생활 교육에 관한 두 가지 문제
Ⅱ. 신석기시대 주거생활과 역사교육
1. 신석기시대 주거생활
2. 역사 탐구와 상상
Ⅲ. 신석기시대 주거생활 관련 교과서 분석
1. 분석 초점 및 분석 대상
2. 교과서 분석 결과
Ⅳ. 신석기시대 주거생활 교육의 방향
1. 교과서 서술 방향
2. 초등 역사수업의 방향: 역사 탐구와 상상을 활용한 신석기시대 주거생활 교육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