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Implications of Activity Theory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초록
영어
Activity theory is a theory that emphasizes the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 in human activities and explains social phenomena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members of society through mediators such as tools and signs. A structural approach to the human activity system provides a useful framework for analysis of the collective nature of learning. Expansive learning theory is a theory that has evolved within the framework of activity theory and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developmental work research. Developmental work research is an implementation study of collective efforts to overcome the old way of working and seek a new way of working cooperatively by forming a team and network. Developmental work research for innovation in school education is possible only when school autonomy is premised in terms of teacher expertise, and the central task is the reorganization of the local curriculum. The restructuring of this local curriculum must be done in a direction and at a level that guides, facilitates, and encourages students'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Only when cooperative learning, which is discussion and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serves as the foundation, true inquiry learning as an activity for constructing knowledge can be achieved.
한국어
활동이론은 인간활동에서의 문화·역사적 맥락을 강조하며, 도구·기호와 같은 매개물을 통한 사회구성 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사회적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는 이론이다. 인간 활동 체계에 대한 구조적 접근을 통 해 학습이 지닌 집단적 속성에 대한 유용한 분석의 틀을 제공해 준다. 확장학습이론은 활동이론의 틀 내에서 진화한 이론으로서, 현장개선연구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해 준다. 현장개선연구는 종전의 작업 방식을 극복하 고 새로운 작업 방식을 협력적으로 팀과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모색하려는 집단적 노력의 실행연구이다. 학교 교육의 혁신을 위한 현장개선연구는 교사의 전문성이라는 견지에서 학교 자율이 전제될 때에만 가능하고, 그 중심적인 작업은 지역적 교육과정의 재구성이다. 이 지역적 교육과정의 재구성은 학생들의 지식 구성활동을 안내하고, 촉진하며, 격려하는 방향과 수준에서 이루어져야만 한다. 여기에는 학습자들 간의 토론과 상호작 용이라는 협력학습이 그 토대로 작용할 때에만 지식 구성을 위한 활동으로서의 진정한 탐구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목차
Abstract
I. 머리말
II. 활동이론과 확장학습의 개념
Ⅲ. 학교 자율과 현장 개선 연구
Ⅳ. 협력학습과 지식 구성 활동
Ⅴ.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