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Maker Education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maker education for providing basic data to introduce and implement maker education into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For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degre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maker education, differences in perception on maker education according to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perception on maker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9 teachers in charge of 5th and 6th grades at 16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Cheongju 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maker education was high. And teachers showed high means in all sub-factors(improving student capabilities, improving classroom instruction, the need of maker space, and the importance of teacher expertise). Second, gender was not a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maker education.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maker educatio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eachers know what maker education is. In the sub-factor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improvement of classroom instruction, the need of maker space, and the importance of teacher expertise.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mak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maker education-related training. In the sub-factor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improvement of classroom instruction.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perception on maker education(improving student capabilities, improving classroom instruction, the need of maker space, and the importance of teacher expertise).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on maker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to enhance teachers' expertise in order to introduce authentic maker education into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한국어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교실 속으로 메이커 교육을 도입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메이커 교 육에 대한 인식의 정도, 배경적 특성에 따른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 식의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청주시에 소재하는 16개 초등학교에서 5학 년과 6학년을 담당하는 교사 149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이커 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은 높은 수준이었다. 하위요인 모두(학생 역량 증진, 교실 수업 개선, 메이커 교육 환경의 필요성, 교사 전문성의 중요성)에서도 높은 평균을 보였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메이커 교육 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느냐의 여부에 따른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요인에서 는 교실 수업 개선, 메이커 교육 환경의 필요성, 교사 전문성의 중요성에서 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다. 넷째, 메이커 교육 관련 연수의 경험에 따라서도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요 인에서는 교실 수업 개선의 효과에 대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 의 하위요인들(학생 역량 증진, 교실 수업 개선, 메이커 교육 환경의 필요성, 교사 전문성의 중요성)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메이커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메이커 교 육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고,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교사의 전문성을 신 장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메이커 교육의 구성 요소
2. 메이커 교육의 특징
3. 선행 연구의 고찰
Ⅲ. 연구 방법
1. 조사 대상
2. 조사 도구
3.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1. 초등학교 교사의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
2. 배경적 특성에 따른 초등학교 교사의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
3.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관계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