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강릉 초당동 유적군 (원)삼국시대 주거와 취락

원문정보

The dwellings and settlements in archaeological sites of Chodang-dong, Gangneung on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Three Kingdoms Period

박경신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50집 2023.06 pp.203-237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Three Kingdoms Period, settlements such as Chodang-dong, Gangmun-dong, and Songjeong-dong were located on the coastal sand dune in Chodang-dong, Gangneung. Generally, the center of settlements shifted from Chodang-dong to Gangmun-dong, and then to Songjeong-dong.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with the creation of Silla's tombs in the center of Chodang-dong, the appearance of settlements began to change.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Three Kingdoms Period, Chodang-dong can be divided into five phases based on changes in pottery styles and dwelling structures. In the first phase of Chodang-dong(2nd century AD), many Lelang-type Pottery and 吕·凸-shaped dwellings with straight back walls were discovered. In the second phase of Chodang-dong(3rd century AD), the shape of dwellings remained the same as in the previous phase. But, compared to the first stage, the quantity of Lelang-type Pottery rapidly reduced, and new materials of Joongdo Assemblage were added. In the third phase of Chodang-dong(301∼366 AD), 吕·凸-shaped dwellings with a center of the back wall was slightly protruding were discovered along with Incipient Silla Style Pottery, pottery from the Honam and Japan. In the fourth phase of Chodang-dong(367 to 450 AD), 吕·凸-shaped dwellings with obtuse angle in the back wall, and Silla pottery were added. In the fifth phase of Chodang-dong(451 AD ∼ 6th century AD), Silla's square-shaped dwellings and many Silla pottery are added. Silla's square-shaped dwellings spread from the Mahan region to the northern region of Yeongnam and then to Chodang-dong.

한국어

(원)삼국시대 강릉 초당동 유적군에는 사구 지대를 중심으로 초당동, 강문동, 송정동 취 락이 포함된다. 취락은 대체로 초당동(원삼국시대) → 강문동(병행기) → 송정동(신라)의 순으로 중심지가 이동한다. 원삼국시대 초당동 유적군의 취락 중심지에는 신라의 진출과 더불어 고분군이 조영되면서 구질서가 재편된다. (원)삼국시대 초당동 유적군은 공통적으로 출토되는 중도식무문토기와 새롭게 추가되는 물질자료의 계통 차이, 주거의 구조 및 노시설의 변화에 따라 크게 3단계(5분기)로 세분된다. 초당동 Ⅰ-1단계(AD 2C)에는 후벽이 직선인 여·철자형주거, 무시설식로, 중도식무문토 기와 더불어 낙랑계토기가 다수 확인된다. 초당동 Ⅰ-2단계(AD 3C)에는 주거와 노시설은 앞 시기와 동일하지만 중도유형권의 물질자료가 새롭게 결합되면서 낙랑계토기의 수량이 급감한다. 초당동 Ⅱ-1단계(AD 4C 전엽 ∼ 중엽)에는 후벽 중앙이 약간 돌출한 여·철자형주거, 점토띠식로, 신라 조기양식토기 및 호남지역 토기, 일본의 土師器가 확인된다. 초당동 Ⅱ -2단계(AD 4C 후엽 ∼ 5C 전반)에는 후벽이 둔각으로 꺾인 여·철자형주거, 점토띠식로, 신라토기 등이 확인된다. 초당동 Ⅲ단계(AD 5C 후반 ∼ 6C)에는 신라의 방형주거와 다수의 신라토기가 확인된 다. 신라의 방형주거는 마한지역에서 영남 북부지역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4주식이 탈락하 고, 많은 수의 주공이 결합하면서 초당동 유적군에 최종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초당 동 유적군의 여·철자형주거 및 중도식무문토기는 6C 전후까지도 소수 잔존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강릉 초당동 유적군 (원)삼국시대 주거
Ⅲ. 강릉 초당동 유적군 (원)삼국시대 취락의 편년과 단계설정
Ⅳ. 강릉 초당동 유적군 (원)삼국시대 취락의 전개 양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박경신 Park, Kyoung Shin.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