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Communication Competency Subject according to Changes in University Education - Focusing on the Operating Case of Writing Course in Busan Region -
초록
영어
Recently, the COVID-19 and Chat GPT had lots of influences on education methods of university. Since 2020, universities have been rapidly changing their education methods following changes in educational structure. Before 2019, universitie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writing education as a representative basic common subject, and most universities regarded writing education as the core area of basic common education. So far, the goal of this writing education has shown the future direction of humanities and the trend that university basic common subjects aimed for. However, even in the recent changes of educational paradigm, the writing education that was still classified into theory course was operated as knowledge-centered course. As the writing course of university also faced difficulty, the necessity of subject itself was embroiled in controversy. Thus, this thesis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courses and also to seek for the future direction of university basic courses in Busan region through the writing course which is not only an university basic course, but also the basis and foundation of humanities facing various changes in our society after going through the post-COVID-19 era. For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 detailed content, class method, and textbook-related matters of university writing course in Busan region, and then presented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한국어
최근 코로나 19와 쳇 GPT는 대학의 교육 방법에 많은 영향을 미쳤고, 이로 인해 2020학년 도 이후 대학은 교육 구조의 변화 아래 교육 방법을 급격하게 전환하고 있다. 2019년 이전까지 대학은 대표적인 대학 기초 공통 과목인 글쓰기 교육의 중요성을 부각시켰고 대부분의 대학에서 글쓰기 교육을 의사소통 역량 교육의 핵심 영역으로 보았다. 그동안 이러한 글쓰기 교육의 목표는 인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각 대학의 기초 공통 교과가 지향하는 경향을 말해주었다. 그동안 논의된 것처럼 국어과에서는 국어과 교과 역량으로 “비판적ㆍ창의적 사고 역량, 자료ㆍ정보 활용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ㆍ대인 관계 역량, 문화 향유 역량, 자기 성찰ㆍ계발 역량”을 제시하면서 ‘(핵심) 역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대학에서도 국어과 교과의 핵심 역량을 기르는 데 있어서 기초 공통 교과목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고, 핵심 역량 중에 ‘의사소통 역량,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의 수단으로 글쓰기 교육의 역할이 강화되었다. 그러나 최근의 급변하는 교육 패러다임의 변모 속에서도 여전히 이론 수업으로 분류되 는 글쓰기 교과가 지식 중심의 강의로 운영됨에 따라 대학 글쓰기 교과 역시 난관에 직면 하였고 교과목의 필요성 여부가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점을 보여주듯이, 실제 일 부 대학에서는 글쓰기 교과에 대한 비중이 약해지고 좀더 다양한 기초 공통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그래서 이 글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겪으면서 우리 사회에 다양한 변화 를 맞이한 인문학의 기초, 토대라고 할 수 있는 의사소통 역량 교과목의 변모를 통해 부산 지역 대학의 운영 현황과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 대학의 의사소통 역량 교과의 요목, 세부 내용, 수업 방식, 교재 관련 사항을 시기별 흐름에 따라 살펴보고 그 한계점과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1. 머리말
2. 의사소통 역량 교과목의 정체성과 부산 지역교과목 커리큘럼의 변천
3. 대학의 교육 과정 운영 실태 및 향후 과제
4.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