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장단(長短)의 개념과 계통 -『금합자보(琴合字譜)』 수록곡을 통한 검증적 시각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Concept and System of Jangdan, the Rhythmic Pattern - Focused on Reviewing the Songs from <Geumhapjabo琴合字譜> -

임혜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ee Hye-ku defined Jangdan as a specific rhythmic pattern, and Lee Bo-hyung agreed with his opinion and studied the rhythmic pattern more deeply. Lee Hye-ku classified Jangdan followed by the beat system, on the other hand Lee Bo-hyung classified Jangdan based on the composition of rhythmic-types. According to Lee Hye-ku's Jangdan theory, it was difficult to classify the songs in Geumhapjabo according to his Jangdan classifying pattern. However,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composition of the rhythm presented by Lee Bo-hyung, it was possible to classify the songs in the Geumhapjabo into small Jangdan, regular Jangdan, and complex Jangdan pattern. Among the songs in Geumhapjabo, and can be classified to small Jangdan style. In regular Jangdan style, , , and will be classified. Lastly, , and correspond to the complex jangdan style. Songs with complex jangdan style are composed of rhythmic pattern with one or two phrases of the lyric and melody. Therefore, the complex jangdan style songs in the Geumhapjabo can be said to be that the rhythm pattern and the lyrics composition patterns are similar and correspond in general.

한국어

본고에서는 그간 제시된 장단의 개념들을 파악해 보고, 이에 대한 검증 작업으로 우선 공시적 인 관점을 적용한 논의를 진행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혜구는 장단은 특정한 rhytnmic pattern이라고 보았으며, 이보형은 이에 동의하면서 리듬 형에 대한 보다 심층적 연구를 진행했다. 그에 따르면 장단을 이루게 하는 음악적 요인이 장단 에 내재되어 있는 리듬형의 음악적 통사구조에서 기인하며, 리듬형의 구성에 따라 분류가 가능 하다. 즉, 이혜구가 박자별로 장단을 분류해서 제시한 것과는 다르게 이보형은 리듬형의 구성을 기준으로 장단의 분류를 시도했다. 『금합자보』 수록곡은 그 주기의 길이에 따라서 4대강, 16정간 1행, 노랫말 구(句) 주기로 구 분해 볼 수 있었지만, 이 중에서 16정간 1행 주기의 장단을 제외하고는 이혜구가 제시한 바와 같이 박자별로 계통을 구분해보기는 어려웠다. 이는 4대강 주기의 경우나 또는 구(句) 주기에서 각 주기별로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와 또는 장고형이 등장하는 순서는 같지만 각각의 길이 가 서로 다른 경우를 각 정간의 시가를 그대로 인정한다는 전제하에서는 박자 단위로 리듬형이 반복되는 형태라고 보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한편 이보형이 제시한 바와 같이 리듬의 구성에 따라서 금합자보 수록곡 장단의 계통을 소장단, 여느장단, 대장단으로 구분해 보는 것은 가능했다. 특정 장고형 여러 개에 노랫말의 한 음보, 또는 두 음보가 붙어서 여느 리듬형이 형성되는 소장단 계통으로 <여민락>과 <보허자>, 여느리듬형에 2~3음보의 노랫말이 붙고, 그 여느리듬형의 길이가 장단의 길이와 일치하는 여느 장단 계통에는 <한림별곡>, <감군은>, <평조북전>, <우조북전>이 해당했다. 마지막으로 같은 여느리듬형 또는 다른 여느리듬형이 여러 개가 결합해서 통사구조를 이루게 되는 대장단 계통 으로 <만대엽>, <정석가>, <사모곡>이 해당했다. <만대엽>, <정석가>, <사모곡>의 경우는 장단 의 주기가 노랫말의 구 하나 또는 둘 단위로 이루어지는 곡이었다. 그러므로 『금합자보』 당시 대장단은 일정 주기로 반복되는 리듬형이라는 장단의 개념에서 ‘일정 주기’가 노랫말 구 단위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생성된 장단이라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장단의 개념과 분류
Ⅲ. 『금합자보(琴合字譜)』 수록곡 장단의 계통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혜정 Im, Hye-Jung. 한양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