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정조시대의 불교와 한양

원문정보

A Study on Seoul Buddhism from 1724 to 1800

한상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oseon Dynasty put forward the national management principle of worshiping Confucianism and suppressing Buddhism, but the early kings continued the buddhist tradition and culture centered on the temples in Seoul. On Buddha's birthday, the streets of Seoul were filled with lotus lanterns, centered on Heung-cheonsa Temple, Heung-boksa Temple, Ji-cheonsa Temple, and Heung-deoksa Temple. In addition, during national crises such as drought or epidemics, buddhist rites were held at temples to pray for rain, amphibious rites, parading sutras, and to ward off disasters. However, the prevalence of Hanyang Buddhism did not exceed 100 years. Starting with Ji-cheonsa Temple, all temples in Seoul disappeared after the Yeon-sangun Dynasty(1494-1506). Buddhist rites such as prayer for rain, Suryukjae, parading sutras, and lotus lanterns that were performed based on temples all disappeared. The disappearance of temples in Seoul continued for nearly 400 years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aspects of Buddhism in Seoul during the reigns of King Yeong-jo(1724-1776) and King Jeong-jo(1776-1800), when these temples disappeared. First of all, I understood what Yeong ⋅Jeongjo's stance was on Buddhist paper manufacturing in this era and various other compulsory labors. Next, Buddhism in the era of King Jeong-jo was examined through the buddhist books of the Kyujanggak and the establishment of Yongju-sa Temple. In addition, various aspects of buddhism in Seoul in the era when there were no temples were examined through various geography and map temples, buddhism observed by foreigners, and donation activities of Seoulites.

한국어

조선은 신왕조의 운영 기조를 숭유억불로 내세웠으나 초기의 국왕들은 한양의 사찰을 중심으로 불교 전통과 문화를 지속하였다. 도성 안에는 흥 천사와 흥복사, 지천사, 그리고 흥덕사 등을 중심으로 초파일 때면 거리마 다 연등이 넘실댔다. 가뭄이나 전염병 등의 국가적 위기에는 사찰에서 기 우제와 수륙재, 경행, 그리고 재난을 물리치기 위한 소재도량을 열었다. 그러나 이러한 한양 불교의 성행은 불과 1백 년을 넘기지 못하였다. 지 천사를 시작으로 폐사가 시작되어 연산군대(1494~1506) 이후에는 한양의 모든 사찰이 사라졌다. 사찰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던 기우제와 수륙재, 경 행과 연등 등의 불교 행사는 모두 사라졌다. 이와 같은 한양의 무사찰시대 는 19세기말까지 거의 4백 년 동안이나 지속되었다. 본 고는 이러한 무사 찰시대, 영⋅정조시대(1724~1800)의 한양 불교의 모습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영⋅정조시대의 불교를 사찰의 지역(紙役)을 통해 영⋅정조의 입장이 어떠했는가를 이해하였다. 이어 정조시대의 불교를 규장각의 불서와 용주 사 창건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종 지리지와 지도의 한양 사찰, 외 국인들의 본 한양 불교, 그리고 한양민들의 시주활동을 통해 사찰이 없었 던 시대의 한양불교 모습을 고찰하였다. 19세기 말 조선을 방문한 외국인들은 한결같이 조선의 불교는 유물로만 명맥을 유지할 뿐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한양은 장안사를 비롯한 사찰들의 중요한 시주처였다. 지방에서 승도가 권선문을 들고 한양에 찾아와 시주를 구하면 한양민들은 누구도 거절하지 않았다. 사찰과 승도가 사라진 현실이 었지만 한양의 불교 전통과 문화는 여전히 남아 있었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영⋅정조시대의 불교
1. 사찰의 지역(紙役)
2. 규장각의 불서
3. 용주사의 창건
Ⅲ. 영⋅정조시대 한양의 불교
1. 지리지와 지도의 한양 사찰
2. 외국인들이 본 한양 불교
3. 한양민들의 시주활동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상길 Han, Sang-gil.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