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아의 놀이성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Effect of Young children's playfulness on leadership : Mediating effect of children resilience

김희정, 강미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resilienc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children's playfulness on leadership.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304 young children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 Scale) adapte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Young-hee (1995), the early childhood leadership scale developed by Choi In-soo (2008), and the resilience scale developed by Lee Yeon-sil (2011) were used, and the SPSS 23.0 program was used. and analyzed the results. As a result, first, young children's playfulness, leadership, and resilience were higher than average, ranging from 3.42 to 3.65 on a 5-point scale. In order of social spontaneity, leadership was ranked in the order of initiative, sociability, immersion, and sensitivity, and resilience was ranked high in the order of competence elasticity, emotional elasticity, and relational elastic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playfulness and leadership, playfulness and resilience, and leadership and resilienc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resilienc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children's playfulness on leadership, it was found that playfulness affects resilience and playfulness affects leadership.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develop leadership, a competency demanded by the future society, the play-centered curriculum emphasiz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ust be faithfully practiced.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ctivities that promote resilience and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한국어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성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알 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와 J도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304명의 유 아이며, 연구도구로는 Lieberman(1965)의 이론에 기초하여 Barnett(1990)가 개발한 아동놀이성 도 구(CPS: Children’s Playfulness Scale)를 김영희(1995)가 번안하고 수정, 보완한 놀이성 척도, 최인 수(2008)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리더십 척도, 이연실(2011)이 개발한 유아의 탄력성 척도를 사용하 였고,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 놀이성, 리더십, 회복탄력성은 5점 기준에서 3.42~3.65점 사이로 보통수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변인에서는 놀이성은 즐거움의 표현, 신체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유머감각, 사회적 자발성 순으로, 리더 십은 주도성, 사교성, 몰입, 민감성의 순으로, 회복탄력성은 능력적 탄력성, 정서적 탄력성, 관계 적 탄력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놀이성과 리더십, 놀이성과 회복탄력성, 리더십 과 회복탄력성 간에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모든 하위변인들 간에도 유의미 한 차이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놀이성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놀이성 회복탄력성에, 회복탄력성이 리더십에, 놀이성이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놀이성과 리더십 사이에서 회복탄력성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강조하는 놀이 안에서 충분 한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유아의 리더십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유아의 놀이성과 리더십 및 회복탄력성의 일반적 수준
2. 유아의 놀이성과 리더십 및 회복탄력성의 상관관계
3. 유아의 놀이성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희정 Kim, Hee Jung. 광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강미화 Kang, Mi hwa. 광신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