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핑 참여자의 여가경험과 삶의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on the Leisure Experience and Life Changes of Surfing Participants

김지혜, 김나영, 박수정, 윤지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eisure experiences and life changes of Korean surfing participants by applying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leisure experiences of surfing participants and the changes in life after the surfing experience. Eight study participants with at least five years of surfing experience were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that appeared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are as follows. First, surfing participants’ leisure experiences are largely divided into “positive leisure experiences” and “negative leisure experiences,” with “freedom,” “feeling fun and daily escape,” and “immersion into waves.” Second, the change in life after the surfing experience of study participants is “a change in daily life,” “change in personal values related to life” and “change of attitude toward the environment.”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the recent increase in leisure experiences and life value changes of Korean surfing participants. Based on these findings, it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leisure and life value changes of surfing participants and provide polici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domestic surfing.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국내 서핑 참여자의 여가경험과 삶 의 변화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핑 참여자의 여가경험은 어떠한지 그리고 서핑 경험 이후 삶의 변화는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최소 서핑 경력이 5년 이상인 연구 참여자 8명을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 인터뷰를 바탕으 로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핑 참여자의 여가 경험은 크게 ‘긍정적 여가경험’과 ‘부정적 여가경험’으로 구분되며 긍정적 여가경험은 ‘자유로움’, ‘즐거움과 일상탈출’, ‘파도로의 몰입’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여가경험은 ‘혼잡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염려’, ‘타인의 행동으로 인한 불편함’, ‘정부규제로 인한 서 핑 참여의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서핑 참여자의 서핑 경험 이후 삶의 변화는 ‘일상생 활의 변화’, ‘가치관의 변화’, ‘환경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국내 서핑 참여자의 여가경험과 일상의 변화에 대한 의미를 심층 적으로 탐색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서핑 참여자의 여가와 삶을 이해하 고, 국내 서핑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선정
2. 자료수집
3. 분석방법
4. 자료의 진실성 확보
Ⅲ. 결과 및 논의
1. 서핑 참여자의 여가경험
2. 연구 참여자의 서핑 경험 이후 삶의 변화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지혜 Kim, Ji-hye. 경희대학교 시간강사
  • 김나영 Kim, Na-young.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
  • 박수정 Park, Soo Jung.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과 교수
  • 윤지인 Yoon, Jee In. 경희대학교 스포츠지도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