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ORIGINAL ARTICLE

파인만의 ‘과학 강의’를 통해 예비교사가 받아들이게 된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탐색

원문정보

Exploring the Scientific Epistemological Beliefs That Pre-service Teachers Accepted through Feynman’s ‘Science Lectures’

김주원, 임성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epistemological beliefs pre-service teachers have about science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to explore in-depth changes in epistemological beliefs through disciplinary reading. For this purpose, 77 essays written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fter reading Feynman's ‘the meaning of it all’ were analyzed using an induc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pistemological beliefs of pre-service teachers were divided into two situations: 'science in subject learning' and 'science in daily life', and the epistemological beliefs formed in the 'science handled by scientists' situation were analyzed after reading the book. Each situation was divided into sub-categories of 'Impression of Knowledge', 'Source of Knowledge', 'Justification of Knowledge', 'Variability of Knowledge', 'Structure of Knowledge', and 'Value of Knowledge Acquisition' to reveal differences in sophisticated beliefs and naive belief levels. As a result, it was derived that Feynman's science lecture influenced pre-service teachers in terms of establishing new perspectives and recontextualizing existing epistemological belief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pre-service teachers' scientific epistemological beliefs may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that the scope and depth of epistemological beliefs may be expanded to include scientists' beliefs in science through disciplinary reading.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가 상황에 따라 과학에 대해 어떤 인식론적 신념을 가지는지를 살피고, 교과 독서를 통한 인식론적 신념의 변화양상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 예비교사들이 ‘파인 만의 과학이란 무엇인가?’를 읽고 쓴 에세이 77편을 귀납적 분석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기 존에 예비교사가 지녔던 인식론적 신념을 ‘교과 학습 에서의 과학’, ‘일상생활에서의 과학’의 두 가지 상황 으로 구분하고, 교과독서 후에 ‘과학자가 다루는 과학’ 상황에서 형성된 인식론적 신념을 분석하였다. 각 상 황은 ‘지식의 인상’, ‘지식의 근원’, ‘지식의 정당화’, ‘지식의 가변성’, ‘지식의 구조’, ‘지식 습득 가치’를 하 위 범주로 세분화하여 세련된 신념과 소박한 신념 수 준에서 차이를 밝혔다. 그 결과로 파인만의 과학 강의 가 예비교사에게 새로운 관점 정립, 기존의 인식론적 신념 재맥락화 측면에서 영향을 주었음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가 가지는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이 상황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을 밝히고, 교과독 서를 통해 과학자가 다루는 과학에 대한 신념을 포괄 하는 방향으로 인식론적 신념의 폭과 깊이가 확장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 수집
3.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1. 맥락에 따른 예비교사의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2. 파인만의 ‘과학 강의’가 예비교사의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에 미친 영향
Ⅳ. 결론 및 제언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주원 Ju-Won Kim. 여울초등학교 교사
  • 임성만 Sungman Lim.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