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문대학 졸업자의 취업준비행동, 직무적합성, 첫일자리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 Search Behavior, Job Suitability, and First Job Satisfaction of Junior College Graduates

김명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oblem of mismatching and early leave in the youth labor market entails a lot of social costs. An individual's job satisfaction has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 The employment rate of junior colleges i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universities, but the retention employment rate is relatively low. Accordingly, the researcher believed that the cause of early turnover of junior college graduates, who had a shorter job preparation period than general university graduates, was job mismatch and job dissatisfaction, and that the fundamental solution to this was job preparation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ose who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s in August 2019 and February 2020, had first job experience with employment-related qualifications, and were limited to young people under the age of 34.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job preparation behavior of junior college graduates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suitability, but had no effect on first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job suitabi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first job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alleviate youth unemployment and early turnover, which are fixed in our society, it is important to consider job suitability from the job preparation stage. In conclusion, first, junior colleges should build a job support system with a greater focus on improving students' job suitability. For example, extracurricular programs for students' career exploration and job competency improvement should be activated.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strong financial support to junior colleges. Specialized financial support projects should be implemented so that junior colleges can take advantage of their strengths and expertise, rather than taking advantage of the financial support projects of general universities. On the other hand, companies should pay attention to finding a balance between intrinsic and extrinsic job satisfaction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한국어

청년노동시장에서 미스매칭과 조기이직의 문제는 많은 사회적 비용을 수반한다. 개인의 일자리만족은 이직의도에 매우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전문대학의 취업률은 일반대학보다 높지만, 유지취업률은 상대적 으로 낮다. 이에 연구자는 일반대학 졸업자에 비해 짧은 취업준비기간을 가진, 전문대학 졸업자의 조기이 직의 원인은 직무불일치와 일자리불만에 있으며, 그에 대한 근본적인 해법은 취업준비행동에 있다고 보 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9년 8월, 2020년 2월에 전문대학을 졸업하고, 취업 관련 자격증 보유한 첫 직장 경험자로 연령은 34세 미만의 청년으로 한정하여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전문대학 졸업자의 취업준 비행동은 직무적합성에 양(+)의 영향을 미쳤으나, 첫일자리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직무적 합성은 첫일자리만족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우리사회에 고착화된 청년실업 과 조기이직 완화를 위해서는, 취업준비단계에서부터 직무적합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결 론적으로, 첫째, 전문대학은 학생들의 직무적합성 향상에 보다 초점을 맞추어 취업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예컨데, 학생들의 진로탐색․직무능력향상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활성화 해야한다. 둘째, 정부는 전문대학에 강력한 재정적 지원을 해야한다. 일반대학의 재정지원사업에 편승되지 않고, 전문대학만의 장 점과 전문성을 살릴수 있도록 특화된 재정지원사업을 시행해야한다. 한편, 기업은 MZ세대의 특성을 고려 하여 그들이 내재적ㆍ외재적 일자리만족의 균형을 찾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1. 취업준비행동
2. 직무적합성
3. 일자리만족
Ⅲ. 연구방법
1. 연구절차
2. 연구모형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 기초통계
2. 측정모형 분석
2. 구조모형 분석
3. 다중집단 구조방정식모델 분석
4. 연구가설의 검증
Ⅴ.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명희 Myung-Hee Kim. ㈜엘리트코리아 커리어개발연구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