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 Study on a Philosophical Foundation of Intergenerational Christian Education : The Significance of Reciprocity and Participation

원문정보

세대통합 기독교교육의 철학적 토대에 관한 연구 : 호혜성과 참여를 중심으로

Hyunho Shi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intergenerational Christian education in Korean churches and families that struggle with “generational fragmentations” focusing on the conception of reciprocity and participation. For the faith community in Korea, “generational fragmentations” does not merely mean communication gaps or the disconnection between generations but also the absence of reciprocity and communal participation as a genuine intergenerational community of faith. With this phenomenon in mind,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 of “intergenerationality” in education, focusing on reciprocity and partic- ipation. Next,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s of reciprocity and participation found in John Dewey’s seminal works, Democracy and Education and Experience and Education based on his ideas of democracy and experience in relation to intergenerational Christian education for the Korean church and families. The present paper then attempts to find implications for intergenerational Christian education in the Korean church and family, showing the importance of an intergenerational community of faith with reciprocity and communal participation, and communal spiritual journey with children and adults.

한국어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신앙공동체 내 “세대 단절”로 씨름하고 있는 교회와 가정이 함께 하는 세 대통합 기독교교육을 위한 함의를 찾기 위해 호혜성과 참여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철학적 토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신앙공동체 내 “세대 단절”은 세대 간의 소통 단절을 넘어서 다른 세대 간의 호혜적 관계와 공동체적 참여를 상실한 세대통합적 기독교교육의 부재임을 지적하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해 먼저 최근 범지구적으로 교육학계와 기독교교육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온세대성(intergenerationality) 의 이해를 호혜성과 참여에 초점을 맞추어 철학적, 신학적, 교육학적으로 살펴본다. 둘째, 존 듀이의 <민주주의와 교육>(1916)과 <경험과 교육>(1938)에 나타난 민주주의와 경험의 교 육철학적 개념에 기초하여 호혜성과 참여의 개념을 살펴보면서 교사와 학습자의 관계, 교육공동체 의 호혜적, 참여적 교육과정에 대해 검토한다. 결론 및 제언 : 세대통합 기독교교육은 참여자의 통전적 신앙형성을 위해 호혜성과 참여를 회복해 야 한다. 한국교회의 세대통합 기독교교육 실천에 대한 창조적인 대안 마련을 위해 본 연구는 호 혜성과 참여를 회복하는 온세대적 공동체 형성의 중요성, 세대 간 신앙전수와 신앙공유를 위한 거 룩한 경청과 공동체적 영적 순례의 실천을 통해 모든 세대 참여자의 상호 이해와 존중이 회복되어 야 함을 강조한다.

목차

Abstract
논문 요약
Ⅰ. Introduction
Ⅱ. Exploring the conception of reciprocity and participation in intergenerational education
Ⅲ. Dewey’s ideas of reciprocity and participation based on democracy and experience
1.Reciprocity and democracy in Dewey’s philosophy of education
2.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in Dewey’s philosophy of education
3. Scientific method of education for reciprocity and participation
4. Reciprocity and particip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learner
Ⅳ. Implications for intergenerational Christian education for the Korean family and church
Ⅴ. Conclusion
References

저자정보

  • Hyunho Shin 신현호.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