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의사소통, 신뢰 및 조직문화간의 관계가 기업 경쟁력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Trust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Corporate Competitiveness

김진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development culture, intra-organizational trust, and communication and their influence on corporate competitiveness. The research model is composed that development culture has a positive effect on trust and communication, and that trust and communic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competitiveness. The data for the analysis were integrated at the company level (510 companies) and used the data of 9,053 employees collected in the 1st survey of the Human Capital Company Panel(HCCP II) of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KRIVET). For corporate competitiveness, responses to 10 factors for internal process capability and customer service capability were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evelopment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and communication. And trust and communica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ly effect on corporate competitiveness. In the indirect effect analysis through bootstrapping, the development culture did not show indirect effects through trust and communication, so only direct effects between development culture, trust and communication, and corporate competitiveness could be confirmed.

한국어

이 연구는 기업의 혁신적 문화, 조직 내 신뢰, 의사소통의 관계와 기업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은 기업의 혁신적 문화가 신뢰와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신뢰와 의사소통은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긍정적일 것으로 가정하였다. 분석을 위한 설문자료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KRIVET)이 시행하는 인 적자본기업패널Ⅱ(HCCP Ⅱ)의 1차 조사에서 수집된 9,053명 종업원의 자료를 기업수준(510개 기업)으로 통합하여 활용하였다. 기업경쟁력은 내부 프로세스 역량과 대고객역량에 대한 10개 요소에 대한 응답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모 형을 분석하는데 구조방정식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혁신적 조직문화는 조직의 신뢰와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신뢰와 의사소통은 기업 경쟁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트스트 랩을 통한 간접효과 분석에서는 혁신적 조직문화가 신뢰와 의사소통을 통한 간접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혁신적 조직 문화, 신뢰와 의사소통, 기업 경쟁력 간의 직접효과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조직문화
2. 의사소통과 신뢰의 효과
Ⅲ. 연구방법
1. 자료의 조사
2.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Ⅳ. 실증분석
1. 표본의 특성과 분포
2.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3. 연구모형 분석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진희 Jinhee Kim. 정회원, 교수,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영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