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eaching and learning about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using sampling simulation : A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analysis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activity system of teaching and learning about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using sampling simulation, based on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The research explores what contradictions arise in the activity system and how the system changes as a result of these contradictions. The participants were 2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5th to 6th grades who received classes on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using sampling simulations. Thematic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findings show that a contradiction emerged between the rule and the object, as well as between the mediating artifact and the object. It was confirmed that visualization of empirical sampling distribution was introduced as a new artifact while resolving these contradictions. In addition, contradictions aros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rule and between the rule and the mediating artifact. It was confirmed that an algorithm to calculate the mean of the sample means was introduced as a new rule while resolving these contradiction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에 기반하여, 표집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비형식적 통계적 추리 의 교수학습 과정을 활동체계로 고려하고, 이러한 활동체계에서 발생하는 모순과 모순에 의한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5∼6학년 20명을 대상으로 표집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비형식 적 통계적 추리에 대한 수업을 진행하고 활동체계를 분석하였다. 주제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 다. 먼저, 규칙과 목표, 인공물과 목표 사이의 모순이 발생했으며,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경험적 표집 분포의 시각화라는 새로운 인공물이 도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규칙과 인공물, 규칙과 주 체 사이의 모순이 발생했으며,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표본 평균들의 평균을 구하는 알고리즘이 새로 운 규칙으로 도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문화역사적활동이론
2. 표집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비형식적 통계적 추리의 학습
Ⅲ. 연구 방법
1. 참여자 및 연구맥락
2. 자료 수집 및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1. 규칙과 목표, 인공물과 목표 사이의 모순에 의한 경험적 표집 분포의 시각화 도입
2. 규칙과 인공물, 규칙과 주체 사이의 모순에 의한 평균 구하기 알고리즘의 도입
Ⅴ.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