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구술로 본 38선 이북 마을의 식민지와 해방·전쟁의 경험 :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A마을 여성의 가족이야기

원문정보

The Experience of Colonial Rule, Liberation and War in a Village North of the 38th Parallel through Oral History : The Family History of a Woman from 'A' Village in Kanghyeon-myeon, Yangyang-gun, Gangwon-do

김영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deals with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Yangyang region through the family history of the interviewee Lee Hyo-chun, a native of Yangyang in Gangwon-do. Yangyang region was part of North Korea just after liberation but was later 'recovered' by Sou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In an era of extreme ideological confrontation, the residents of this region were forced to accept, on two occasions, different systems. In addition, as the roads, railways, and port facilities built by the Japanese in this region for plundering were used as military roads and facilities during the Korean War by both North and South Korea, the war damage was exacerbated in this region. Lee Hyo-chun's family history is composed of the life stories of three generations: her grandparents, parents, Lee Hyo-chun and her sister. The lives of three generations of the native family who have lived in Yangyang for generations vividly demonstrate the tragic process of how colonization, liberation, war, and division have transformed the local community of Yangyang. In addition, they also show how the members of the family have each survived and lived their lives by employing their own survival strategies on the tragic stage of their lives, demonstrating their dynamism. This paper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First, it examines the changes in Yangyang and the family history during the colonial period. During this period, Yangyang experienced intense resistance movements such as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farmers' association movement. On the other hand, the region was plundered and developed at the same time by the Japanese who took control of the local community. There were exploitation and development as two sides of the same coin. Lee Hyo-chun's family, a local influential family in Yangyang,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resistance movement while accumulating wealth dur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under colonial rule. Secondly, it explores the family lif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under the North Korean regime. As her father did not directly cultivate the land, Lee Hyo-chun's family had most of their land confiscated. Her father became a 'white(흰패)' critical of the North Korean regime and dreamed of defecting to South Korea. He worked in inter-Korean smuggling business based on his experience in the distribution wor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owever, Lee Hyo-chun and her sister received higher education in North Korean society. The desire for education among the local peop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intense, and the opportunities for education provided to the children of 'white' became an important reason that made it difficult for Lee Hyo-chun's family to easily carry out their dream of going to South Korea. Thirdly, it examines the experience of the war and the recapture. The Korean War collapsed and ruined the native society of Yangyang. In the push and pull of the 'sawing war,' massive human and property losses occurred, and all villages were burned down due to the scorched-earth operation of the South Korean army. Most of the young people either enlisted in the North Korean army or fled for refuge when the region was recaptured. The surviving natives lived with a victim mentality for a long time, as they were neither 'North Koreans' nor 'South Koreans' but marginal people. Those who emerged as leaders in the local community instead of the natives were refugees from Hamgyeong-do and Pyeongan-do. They were the main drivers of Sokcho's development and in 1963, separated Sokcho-myeon from Yangyang and promoted it to the status of city. Such an upheaval in the history of Yangyang in which the native society was eroded by immigrants occurred during the 10 years after the war.

한국어

이 논문은 강원도 양양지역의 토박이인 구술자 이효춘의 가족이야기를 통해서 양 양지역의 근현대사를 다룬 것이다. 양양지역은 해방직후 북한지역에 속했다가 한국전 쟁으로 ‘수복’된 곳이다. 극단적인 이념대립의 시대에 이 지역 주민들은 두 차례에 걸 쳐서 서로 다른 체제를 강요받게 된다. 또한 일제가 수탈을 위해 이 지역에 건설한 도로·철도·항만시설은 한국전쟁기 남북 모두의 전투로와 군용시설로 이용됨으로써 이 지역의 전쟁 피해를 가중시켰다. 이효춘의 가족사는 조부모와 부모, 그리고 이효춘 자매의 3대 생애이야기로 이루 어져있다. 대대로 양양지역에서 살아온 이들 토박이 가족 3대의 삶은 식민지·해방·전 쟁·분단이 양양이라는 지역사회를 어떻게 바꾸어놓았는지 그 비극적인 과정을 잘 보 여준다. 이와 더불어 그 비극적인 생의 시험대 위에서 이들 가족들은 저마다 어떻게 생존전략을 구사하면서 삶을 살아왔는지, 그 역동성도 잘 보여준다. 이 논문은 크게 세 시기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식민지시기 양양지역의 변화와 가 족사이다. 이 시기 양양지역은 3.1운동과 농민조합운동이라는 저항운동이 격렬하게 전개되었다. 그리고 또 한편으로 일본인들에 의해 지역사회가 주도되면서 수탈과 개 발이 동전의 양면으로 전개되었다. 양양지역의 유지가였던 이효춘의 가족은 저항운동 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또 한편으로 식민지 근대화 과정에서 부를 축적하였다. 둘째, 해방과 북한체제 하에서의 가족의 삶이다. 부친은 직접적으로 농사를 짓지 않았기 때문에 이효춘의 가족은 대부분의 토지를 몰수당했다. 부친은 북한체제에 비판 적인 ‘흰패’가 되었고 월남을 꿈꾸었다. 그리고 일제시기 유통업에 종사한 경험을 바탕 으로 남북 밀무역에 종사하였다. 그러나 이효춘의 자매는 북한사회에서 고등교육을 받 았다. 일제시기 이 지역민들의 교육에 대한 열망은 대단하였다. ‘흰패’의 자녀들에게도 제공된 교육의 기회는 이효춘의 가족이 쉽게 월남을 단행하지 못한 배경이 되었다. 셋째. 전쟁과 수복의 경험이다. 6.25전쟁은 양양의 원주민 사회를 붕괴시키고 몰락 시켰다. 밀고 당기는 ‘톱질전쟁’에서 막대한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했고, 국군의 소개 작전으로 모든 마을이 전소(全燒)되었다. 청장년층 대부분은 인민군에 입대하였거나 피난을 떠난 상황에서 이 지역은 ‘수복’되었다. 살아남은 원주민들은 ‘북한 사람’도 ‘남 한사람’도 아닌 경계인으로 오랫동안 피해의식 속에서 살아왔다. 원주민들 대신해서 지역사회의 주도자로 등장한 것은 함경도와 평안도의 피난민들이었다. 이들은 속초 발 전의 주역이었으며 1963년 속초면을 양양에서 분리시켜 속초시로 승격시켰다. 이주민 에 의해 원주민 사회가 잠식되는 지역사의 격변이 전후 10년 사이에 일어났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식민지 근대화와 가족사
1) 3.1운동과 조부의 죽음
2) 식민지 근대화와 부친의 성공
3. 해방과 지역사회의 변화
1) 토지개혁과 ‘흰패’가 된 부친
2) 인민공화국 최남단의 땅, 양양
3) 고등교육을 받는 자매
4. 북한 마을에서의 6.25전쟁 경험
1) 1950년 6월, 그리고 개전
2) 국군의 소개 작전과 불타는 마을
3) 사라진 사람들
4) 수복지구에서 살아남기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영미 Kim Youngmi. 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교수, 역사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