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고학년의 학교행복감은 어디에서 오는가? : 가족커뮤니케이션 패턴의 대화지향성과 자기결정성 이론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Where Does School Happiness among Tween Originate from? : The Double-mediated Model Test of Conversation-oriented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and Three Innate Basic Psychological Needs from Self-Determination Theory

이은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nd school happiness and tests the mediating effect of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suggested by self-determination theory. In order to confirm the model validation, this study used a survey method with 300 students from 5 elementary schools in a city. A total of 27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ctual analysis, and the average a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11.93 years(SD=8.76). 150 female students (54.3%) and 126 male students (45.7%)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two missings). As a result, conversation-oriented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positively affec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rinsic basic psychology of autonomy and school happiness. The conformity-oriented family communication patter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happiness. On the other hand, conversation-orientation had indirect effects on competence and relatedness via autonomy in the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It was also found to have a double mediated effect with autonomy and relatedness on school happiness. In summary, the school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reased the greater the conversation-oriented family communication and the greater the intrinsic needs for autonomy and relatedness.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고학년의 가족커뮤니케이션 패턴이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자기결정성 이론의 세 가지 기본적 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모형검증을 위하여 초등학생 278부의 설문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고, 평 균 11.93세의 나이에 여학생 150명 남학생 126명(성별 무응답 2명)이 설문에 참여하였 다. 연구 결과, 가족커뮤니케이션 패턴의 대화지향성은 초등학생의 자율성에 대한 내재 적 기본심리욕구와 학교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순응지향적 가족커뮤니 케이션 패턴은 기본심리욕구와 학교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본심리욕구의 자율성은 유능성과 관계성에 선행하는 심리 기제로 모 형이 검증되었고, 자율성과 관계성의 이중매개 경로를 통해 대화지향성은 학교행복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고학년 학생들의 학교행복감은 가족커뮤 니케이션 패턴의 대화지향성과 세 가지 기본심리욕구의 관계로 전체변량의 68%가 설명 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하였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초등고학년의 학교행복감 연구
2) 가족커뮤니케이션 패턴
3) 자기결정성이론의 내재적 기본 욕구
4) 가족커뮤니케이션 패턴과 학교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이론의 매개모형
3.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 도구
3) 자료 분석
4. 연구결과
1) 탐색적 요인분석 및 기초통계결과
2) 학교행복감 구조방정식 모형 결과
3) 직접효과 검증
4) 간접효과 검증
5. 논의 및 제언
1) 논의
2) 연구의 의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은순 Eunsoon Lee. 동아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