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M&A 공표 이후 피합병 기업승무원의 부정적 심리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Flight Attendants’ Negative Psychological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after Airline M&A Announcements

김진아, 곽원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November 2020, the government decided to integrate Airline D and Airline A, and the Fair Trade Commission approved the merger of Airline D and Airline A in February 2022 in the form of ‘conditional approval’. Since M&A brings considerable anxiety and fear to the future of the merged company members, for successful change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obstacles that the merged company members feel during the M&A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organizational cynicism, and resistance to organizational change as negative emotions perceived by flight attendants after M&A announce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lso,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security and expected motivation perceived by flight attendants of the merged company were examined. As a result, we have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organizational cynicism, and organizational change resista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resistance to organizational change leading to turnover intention, neither job security nor expected motivation levels had a moderating effect. Negative emotions that have a key influence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members of the merged company were presented,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empirically verified by applying the expected motivation levels of expectations, instrumentality, and significance, which constitute the employment stability and expectation theory in the relationship.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contemplation and research focusing on the emotions of the merged company members are necessary for successful corporate integration of M&A.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it examines the level of expected motivation, which was not widely used in the HR organization as a variable that controls the negative emotions of members of the merged company immediately after the announcement rather than during the M&A proces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항공사 최초의 M&A 공표 이후 피합병 기업구성원의 신분에 놓이게 된 A항공사 승무 원의 심리적 계약위반, 조직냉소주의, 조직변화저항과 이직의도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고용안정성과 기대 동기수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M&A와 같은 조직변화는 기존 조직구성원의 이직 가능성을 높이는 계기 가 되기 때문에 인적자원 관리의 효율성을 위해서도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조경순, 2006)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피합병 기업구성원들의 이직의도에 핵심적 영향을 끼치는 부정적 심리요인을 문 헌고찰을 통해 제시하였다. 그리고 고용안정성 및 기대이론의 구성요소인 기대감, 수단성, 유의성이 통합 적용 된 기대동기수준이 피합병 기업구성원들이 지각하는 부정적 심리요인을 실질적으로 완충시키는지를 실증적으 로 검증하였다. 연구는 피합병 기업구성원이 되는 A항공사 승무원 3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문헌고찰 을 통해 피합병 기업구성원의 이직의도에 핵심적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계약위반, 조직냉소주의, 조직변화저항 을 독립변수로 도출하였다. 조절변수로는 고용안정성과 기대동기수준을 고려하였는데 특히 국내 인사조직연구 에서 많이 활용되지 않았던 기대이론(Vroom, 1964)의 긍정적 동기부여 메커니즘이 피합병 기업구성원의 부정 적 심리요인을 완충시켜 이직의도를 조절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항공사 M&A
2. 심리적 계약위반과 이직의도
3. 조직냉소주의와 이직의도
4. 조직변화저항과 이직의도
5. 고용안정성의 조절효과
6. 기대동기수준의 조절효과
Ⅲ.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연구표본의 특성
2. 측정도구
Ⅳ. 실증분석 결과
1. 변수의 신뢰도 및 타당도
2.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3. 가설 검증
Ⅴ. 결론
1. 연구결과 및 이론적 시사점
2. 생산성 함의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
3. 연구의 한계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진아 Jinah Kim. 오산대학교 항공서비스과 조교수
  • 곽원준 Wonjun Kwak. 숭실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