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동의 학업 스트레스, 자기자비 및 주의전환 반응양식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잠재프로파일 분석

원문정보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Self Compassion, Distractive Response Style on Subjective Well-Being of Children: Latent Profile Analysis

박우람, 홍상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of children’s academic stress, self-compassion, distractive response 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Fourth-, fifth-, and sixth-grade 607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yeongssangnam-do rated academic stress, self-compassion, distractive response 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and self-compassion, distractive response style. And, self-compass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distractive response style and subjective well-being. Additionally, distractive response style was positively related to subjective well-being. Second, we explored what variables are the most predictive for subjective well-being among the three predictors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academic stress was the most predicted variable followed by self compassion, distractive response style. Third, the latent profile types, dividend by the levels of the three predictors, resulted in four profile types. Third, in terms of psychological adaptation, the positive functional type; the opposite dysfunctional type; the relatively high stressful type; and the low distractive response style were divide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 latent profile types showed that the functional type was the highest for subjective well-being, followed by low distractive response style, stressful, and dysfunctional type. The dysfunctional type had the lowest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low distractive response style and stressful types. Last, w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to the previous studies, and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한국어

이 연구는 아동이 지각하는 학업 스트레스와 자기자비, 주의전환 반응양식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 향력을 잠재프로파일 분석으로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607명에게 아 동용 학업 스트레스, 자기자비, 반응양식,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 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 스트레스는 자기자비, 주관적 안녕감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주의전환 반응양식과는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자기자비와 주의전환 반응양식은 정적 상관을, 주 관적 안녕감과도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주의전환 반응양식은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예언변인으로 설정한 3가지 변인 중 주관적 안녕감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을 회귀분석으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자기자비가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학업 스트레스, 주의전환 반응양식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3가지 예측변인들의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나눈 결과 모두 4가지 유형으로 구 분되었다. 심리적 적응면에서 긍정적인 기능형과 그 반대인 고위험형, 그리고 자기자비와 주의전환은 평균 수준이지만 스트레스만 상대적으로 높은 스트레스형, 그리고 스트레스가 비교적 낮고, 자기자비도 평균 수 준이나 주의전환이 낮은 주의전환 곤란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잠재프로파일 유형별로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기능형 집단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주의전환 곤란형, 스트레스형, 고위험형 순이었다. 그리고 기능형은 주의전환 곤란형과 스트레스형에 비해 주관적 안녕감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 났고, 주의전환 곤란형과 스트레스형은 고위험형에 비해 주관적 안녕감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하지만 주관 적 안녕감이 중간 수준인 주의전환 곤란형과 스트레스형은 서로 역시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 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하고 그 의미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 대상 및 연구 절차
측정 도구
자료 처리
결과
변인 간 상관 및 내적합치도
회귀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우람 Woo-Ram Park. 평거초등학교
  • 홍상황 Sang-hwang Hong. 진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