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essors experienced by domestic school principal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with it. To that end, interview data collected and used in previous studies were re-analy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a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the stressors for domestic school principals turned out to be five main items. First of all, in terms of position, isolation, burden of final decision, and stress caused by perception related to authority weakness were observed, and stress caused by role conflict at the individual level or health issue was also found. In addition, there was also stress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school organiz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chool principal was experiencing stress in maintaining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eople outside the school. Lastly, the stress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existing system due to exogenous shock. Second, it was found that domestic school principal’s coping strategies was classified into passive coping and active coping according to their attitudes. First, the principal responded passively by accepting it internally when there was no high expectation that he or she could adapt to a given situation or improve the behavior of others. Next, the principal showed that he or she escaped stress through available institutional devices. In addition, the principal showed signs of coping with stress by emphasizing communication with unit school members or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in important decision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discussion on school principal’s stress was presented and implications for subsequent support planning were suggested.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장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원인과 이에 대한 대처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국내 중등학교 학교장으로부터 수집한 면담자료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드러난 주요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 스트레스의 원인은 크게 다섯 가지 항목으로 밝혀졌다. 직위에서 기인하는 고 립감과 최종 결정에 따르는 부담, 권한 약화와 관련된 인식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관측되었고, 개인 차원에서의 역할갈등이나 소홀한 건강관리가 초래하는 스트레스도 발견되었다. 또, 경력 과 연령이 중요시되거나 단일하지 않은 고용형태의 구성원이 혼재된 특성을 보이는 학교 안 에서 받는 스트레스도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밖에 단위학교 안팎에서의 인간관계 유지에 서 학교장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었고, 외생충격으로 인해 추동된 변화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장의 스트레스 대처는 소극적 대처와 적극적 대처로 구별되었다. 먼저, 주어진 상황에 순응하거나 타인의 행동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비교적 높지 않을 때, 학교장은 내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 학교장은 가용한 제도적 장치를 통해 스트레스를 탈피함과 동시에, 단위학교 구성원과의 소통을 중시하거나 주요 결정사항에 있어 집단지성을 활용함으로써 대처해나가는 적극성을 드러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장 스트레스와 관련된 논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장 스트레스의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국외와 차별화된 국내 맥락에 관한 선제적인 이해가 동반될 필요성이 있다. 둘째, 학교장 스트레스 관리와 연 관해 현직연수의 보완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학교장 스트레스
2. 관련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자료 수집 및 분석
Ⅳ. 분석결과
1. 학교장 스트레스의 원인
2. 학교장 스트레스의 대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