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소련의 초기 민족정책과 극동지역 고려인 공동체의 교육체계 변화 : 1917-1937

원문정보

Ethno-National Policy of the Soviet Union and Changes in the Education System of the Korean Community in the Russian Far East : 1917-1937

양승조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49집 2022.12 pp.421-44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national policy of the Bolshevik authorities in the early 20th century on the ethnic minority education system of the Korean-immigrant(Koryo-saram) community established in the Far East. During the period 1917-1937, national policy in the Soviet Union changed from ‘the Korenizatsiya(nativization)’ led by Lenin to ‘the Russification’ established after Stalin came to power. Despite this general trend, it was ‘the Korenizatsiya(nativization)’ that led the national policy of the Soviet Union until the mid-1930s, which guaranteed the autonomy of ethnic-nation groups and supported the expression of national characteristics. The community of Koryo-saram residing in the Far East was also able to activate the ethnic minority education movement based on the ethnic language(korean) according to the national policy of the Soviet authorities. Due to the Russian Civil War, the application of the national policy of the Soviet central government in the Far East was delayed until 1922. However, from the end of the civil war to 1937, when the Koryo-saram were forcibly moved to Central Asia, the Koreans who had been living in Primorye acquired modern knowledge and inherited ethnic korean culture through education conducted in Korean, the national language, along with Russian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ethnic minorities. After being annexed by imperial Japan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e Korean Peninsula cultural transmission based on the Korean language was weakening. Considering this point, at that time Primorye was the only place where public education was carried out and Korean traditions were handed down using the language o f the Korean people.

한국어

국가 성립 초기인 1917-1937년에 소련에서 민족정책은 레닌이 주도했던 ‘토착화정책’과 스탈린집권 이후 나타난 ‘러시아화정책’으로 변화해 갔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1930년대 중반까지 소련 민족정책을 이끈 것은 소련을 구성하는 종족과 민족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민족적 특성의발현을 국가가 지원했던 ‘토착화정책’이었다. 이 시기에 극동지역에 거주하고 있던 고려인 공동체역시 소련 초기에 시행된 당국의 이러한 민족정책에 따라 민족어를 기반으로 하는 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었다. 러시아 내전으로 인해 1922년까지 극동지역에서는 소련 중앙정부의 민족정책 적용이 지체되었으나, 내전 종료 이후부터 고려인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되는 1937년에 이르는 15년간 프리모리예에서는 고려인이 러시아어와 함께 민족어인 한어(韓語)로 진행되는 교육 활동을 통해 근대지식을 습득하고 민족문화를 계승할 수 있었다. 20세기 초에 한반도에서는 제국주의 일본에 병합된 후 한어(韓語)에 기반한 문화 전승이 약화하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시기에 프리모리예는 고려어라는 한민족의 언어를 사용해서 공교육이 수행되고 전통이 전수되는 유일한 공간이었다.

목차

I. 서론
II. 초기 소련에서 민족정책의 수립과 변화: 1917-1937
III. 초기 소련의 교육정책과 극동지역 고려인의 교육 상황: 1917-1937
1. 러시아 제국 말 - 내전기(1917-1922)에 극동지역에서 고려인 교육
2. 소련 초기 민족 정책의 추이와 고려인 민족교육: 1922-1937
IV.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양승조 Yang, Seung Jo. 숭실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