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Imagination Play in Baek Heena’s Picture Book
초록
영어
Imaginative play occupies most of children’s play. Children tend to break away from realistic limitations and try to work everything out according to their own needs. Based on experience and observation, children freely imagine without purpose and develop play in various forms. Inside of imginative play, children tend to think abstractly and freely express their feelings or actions away from real life by using and transforming object other than it’s purpose. In addition, the balance of assimilation and adjustment achieved in imaginative play moves children away from egocentric viewpoints toward objects and environments toward a rational and objective perspective. Based on the fact that Baek Heena’s picture book reveals children’s imaginative play based on everyday materials,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Baek Heena’s imaginative play in Cloud Bread, The Pink Rope, The Bath Fairy, Moon Sharbet, Strange Mother, Magic Candies, The Strange Visitor. First of all, Picture books based on nature are characterized by an imaginative play based on the process of observing nature and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nature. Through this, they experience environmental crises, understand that all living things are interconnected in nature, and develop a sense of responding to changes. Picture books based on objects have the characteristics that imaginative play is completed only by adding meaning to the essence of objects. By playing imagination through familiar objects in life, children experience indirect experiences, understand their inner self, and empathize with others. Lastly, the imaginary play of the picture book about fairy and goblin has the characteristic of welcoming strangers and learning how to understand and live together with others. Children fill their boredom and loneliness through these imaginary plays and anticipate what will happen in the future. Through imaginative play, children grow little by little by looking at and embracing negative emotions and anxieties on their own, while acting as they please. In this process, it is important to continue to experience a sense of security, such as affection and solidarity. This is also the reason why the creation and research of various imaginary picture books is more necessary.
한국어
상상 놀이는 아동의 놀이에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아동은 현실적인 제한에서 벗어나 자신의 요구에 따라 모든 것을 해결하려고 시도하는 경향이 있다. 아동은 경험과 관찰을 바탕으로 목적 없이 자유롭게 상상하며 놀이를 다양한 형태로 발전시킨다. 상상 놀이에서 아동은 사물이나 대상을 실제와 다른 용도로 변형하고 활용하면서 추상적인 사고를 하고 실제 생활에서 벗어나 자신의 감정이나 행동을 자유롭게 표출한다. 또한 상상 놀이에서 이루어지는 동화와 조절의 균형은 사물과 환경에 대한 자기중심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관점으로 아동을 나아가게 한다. 본고에서는 백희나의 그림책이 일상 소재를 바탕으로 한 아동의 상상 놀이를 세밀하게 드러낸다는 점에 착안하여 백희나의 그림책 『구름빵』, 『분홍줄』, 『장수탕 선녀님』, 『달 샤베트』, 『이상한 엄마』, 『알사탕』, 『이상한 손님』에 나타난 상상 놀이의 특성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먼저, 자연을 소재로 한 그림책은 자연을 관찰하고 자연의 변화를 이해하는 과정을 기반으로 상상 놀이가 진행되는 특성이 있다. 이를 통해 환경 위기를 경험하며 자연 속에서 모든 생명체는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이해하고 변화에 대응하는 감각을 기른다. 사물을 소재로 한 그림책은 사물의 본질에 인물의 삶이 더해져 의미가 부여됨으로써 비로소 상상 놀이가 완성되는 특성이 있다. 삶에서 친숙한 사물을 매개로 상상 놀이를 함으로써 아동은 간접경험을 하며 자기 내면을 이해하고 타인에게 공감한다. 마지막으로, 선녀와 도깨비를 소재로 한 그림책의 상상 놀이는 낯선 이를 환대함으로써 타인을 이해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을 습득하게 하는 특성이 있다. 아동은 이러한 상상 놀이를 통해 심심함이나 고독함을 채우며 앞으로 벌어질 일을 기대한다. 상상 놀이를 통해 아동은 원하는 대로 마음껏 행동하면서 부정적인 감정들과 불안을 스스로 들여다보고 보듬으며 조금씩 성장한다. 이 과정에서 애정과 연대와 같은 안전감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는 일이 중요하다. 다양한 상상 놀이 그림책의 창작과 연구가 더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목차
1. 머리말
2. 자연을 소재로 한 상상 놀이: 『구름빵』과 『달 샤베트』
3. 사물을 소재로 한 상상 놀이: 『분홍줄』과 『알사탕』
4. 선녀와 도깨비를 소재로 한 상상 놀이:『장수탕 선녀님』과 『이상한 엄마』, 『이상한 손님』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