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 Study on the Diagnostic Assessment of Basic Competency for Adult Learners

원문정보

성인학습자의 기초학력평가에 관한 탐색적 연구

Jieun, Lee, Sungchul, Hong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basic education evaluation for adult learner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is is to find out the discussion of basic learning programs supported by adult learners. In response, FGI was conducted on 24 students from August 9 to August 18, 2022 for adult learners at H University and D Universi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qualitative data,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Although basic education evaluation was conducted at H University and D University, concerns about the basic education evaluation method itself were consistent with adult learners who lead learning based on their experiences raised in previous studies. It can be seen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basic education evaluation of adult learners itself was a burden on students, and the method of evaluation itself was the first obstacle to starting college life. I wanted to be recognized rather than evaluated. Participants in the study suggest that adult basic education evaluation experience is not appropriate to maintain meaning as a criterion for educational evaluation, and that it is important to continue research on the RPL(Recognition of Prior Experiential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 that recognizes qualitative programs and adult life stories.

한국어

본 연구는‘대학의 평생교육체제지원사업’4년제 참여대학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기 초학력평가에 대한 필요성을 연구하였다. 충청권 H대학교와 동남권 D대학교의 성인학습자 재학생 24명에게 2022년 8월9일부터 8월18일까지 FGI를 실시하였다. 질적 자료의 의미 분 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학습의 심리적 요인과 상황적 요인의 차이를 알기 위해 실시한 성인학습자들의 계열별(이공계열, 자연계열, 인문계열) 입학 동기 에서 계열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업의 일원으로 실시한 성인학습자의 기 초학력평가의 필요성은 선행연구에서 제기한 경험에 기초한 학습을 주도하는 성인학습자 에게 기초학력평가 방식 자체에 관하여 부정적인 인지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성 인학습자들의 기초학력평가 이행 자체가 학생들에겐 부담이 되었으며 평가의 방식 자체가 대학생활을 시작하는데 첫 걸림돌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평가자체가 맞춤형 진단에 부적합하기에 기초학력평가 기준으로 학습을 지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수요조사를 통한 학기별 지원프로그램 조사가 더 필요함을 요구하였다. 또한 성인학습자들은 사회경험 으로 갖춰진 역량에 대한 평가 또는 성인학습자들의 지금까지의 경험을 평가하여 인정해 주는 선행학습경험인정제(RPL)에 대한 기준과 평가 방식에 대한 연구를 이어나가는 것이 더 중요함을 제언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성인학습자 관련 선행연구
2. 기초학력평가에 관한 선행연구
3. 성인학습자의 학습 특성
Ⅲ.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자료수집
3.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성인학습자의 계열별 대학입학 동기
2. 성인학습자 대학 입학 후의 변화
3. 성인학습자에게 기초학력평가의 필요성
4. 성인학습자에게 기초학력평가의 목적과 목표
5. 성인학습자에게 실시할 기초학력 평가 방법
6. 성인학습자에게 필요한 기초학력지원프로그램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Jieun, Lee 이지은. Tongmyong University
  • Sungchul, Hong 홍성철. Hoseo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