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Color-Focused Group Art Therapy on the Novice Art Therapist's Self-Efficacy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color on the self-efficacy of novice art therapis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novice art therapists in P city, consisting of 8 people each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conducted a total of 12 sessions of 90 minutes per session. As a research tool, the self-efficacy scale and the change by session were examined through the Suenaga Tamio Heart & Color Chart. For data analysis, a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control group, and repeated measurement variable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the effect of the test timing and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mount of repeated measurement changes in 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which are sub-areas of self-efficacy in group art therapy using colo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st timing. Second, it can be seen that there has been a positive change in self-efficacy as a novice art therapist by expressing works through the experience of color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color.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mproved the self-efficacy of novice art therapists through group art therapy using color and suggested the applicability of a program in which art therapists grow as experts.
한국어
본 연구는 색채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보 미술치료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P시의 초보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및 통제집 단 각 8명으로 구성하여 회기당 90분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자기효능감 척도 와 회기별 변화를 스에나가 타미오 Heart & Color Chart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자료 분석은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검사 시기와 집단에 따른 효과를 보기 위해 반복측정변량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색채를 활 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에 대한 반복측정 변화량을 살펴본 결과, 검사 시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색채 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서 색채의 경험을 통해 작품을 표현함으로써 자기 이해와 감정 해소, 감정의 전환 등으로 초보 미술치료사로서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색채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초보미술치료사의 자기효능감 향상되었고 미술치료사가 전문가로서 성장하는 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을 제안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주 호소문제
2. 연구 도구
3. 자료 분석
Ⅲ. 결과
1. 색채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초보 미술치료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2. 초보 미술치료사의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
3. 색채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보 미술치료사의 회기별과정에서 보이는 자기효능감 변화
Ⅳ. 논의 및 결과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