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편의점 HMR 제품 선택속성이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s of Convenience Store HMR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are Related to Brand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이동근, 장우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the purchase of convenience store HMR products increases, interest in convenience store HMR products continues. Therefore,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attributes of convenience store HMR products, brand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we intend to provide practical development plans for marketing strategy,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convenience store HMR products. In this study,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verification result is as follows. First, among the factors of 'convenience store HMR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product menu' and 'brand imag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trust', but ‘quality level’ was found to have a no effect on ‘brand trust’. Second, ‘brand trus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ird, among the factors of 'convenience store HMR product selection attributes', 'product menu' and 'purchase inten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trust', but ‘quality level’ was found to have a no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brand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of convenience store HMR products will increase if quality levels such as freshness of convenience store HMR products, hygiene of packaging, and nutritional balance are raised and improved.

한국어

편의점 HMR 제품의 구매가 높아지면서 편의점 HMR 제품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고 있는 시점이다. 따라서 편의점 HMR 제품 선택속성,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여 편의점 HMR 제품에 대한 마케팅 전략, 관리, 활용에 관한 실무적인 발전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과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편의점 HMR 제품 선택속성’ 요인 중 ‘제품의 메뉴’와 ‘브랜드 이미지’ 요인이 ‘브랜드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품질 수준’은 '브랜드 신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신뢰’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편의점 HMR 제품 선택속성’ 요인 중 ‘제품의 메뉴’와 ‘브랜드 이미지’요인이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품질 수준’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편의점 HMR 제품 신선도, 포장의 위생, 영양적 균형 등 품질 수준을 높이고 개선에 노력을 기울인다면 편의점 HMR 제품의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가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편의점 HMR 제품 선택속성
2.2 브랜드 신뢰
2.3 구매의도
Ⅲ. 연구설계
3.1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3.2 조작적 정의 및 설문지 구성
3.3 조사방법과 조사기간
Ⅳ. 실증분석
4.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이용특성
4.2 타당성과 신뢰도 분석
4.3 상관분석
4.4 가설의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이동근 Lee, Dong Keun. 국제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과 부교수
  • 장우연 Jang, Woo Youn.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외식산업경영전공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