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Practical Model of Korean Class for cultivating Academic Literacy - Improving critical thinking skills through the practice of argumentation -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classroom model for improving critical thinking skills through the practice of argumentation to cultivate foreign students’ academic literacy. In the first stage, learners analyzed argument texts and identified grounds of the arguments they agreed with. In the second stage. learners located and refuted logical loopholes in argument texts. In the third stage, learners planned, participated in, and evaluated debates using their own knowledge and information from materials they searched for. The survey questionnaire conducted after class revealed learners thought their argumentation abilities had improved. Consequently, learners can critically analyze, select, and use data through the practice of argumentation. Through the transition of their roles from readers who were the recipients of information to presenters and debaters who were producers of information, learners experienced acceptance and production of knowledge; this is expected to help cultivate academic literacy. This study contributes to academic literacy by designing class activities of argumentation.
한국어
이 논문은 유학생을 위한 학문목적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학술적 문식성을 함양하는 방안으로 논증 연습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지향하는 수업을 사례 연구로 제시하였다. 수업의 1단계는 논증 텍스트 분석과 동의하는 주장에 대한 근거 보강에 집중했다. 2단계는 제시문의 논리적 허점을 찾아 반박하는 논증에 집중했다. 3단계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팀을 나누고 토론을 계획하여 수행하고 평가하도록 하여 습득된 지식과 정보가 토론으로 이행하는 과정에 중점을 두었다. 수업 후 학습자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들이 자신의 논증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논증 연습을 통해 학습자들은 자료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었으며, 정보의 수용자인 독자에서 정보의 생산자인 발표자와 토론자로서의 역할 전환을 통해 지식의 수용과 산출을 자연스럽게 경험하였다. 이를 통해 이해와 표현 능력의 전반에 적용되는 학술적 문식성의 함양을 기대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이론적으로만 논의되었던 학술적 문식성 함양을 위한 비판적 사고력의 향상이 논증 연습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실제 수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목차
1. 들어가며
2. 학술적 문식성
3 학술적 문식성 함양을 위한 한국어 수업 설계
4. 수업의 실제
4.1. 분석과 재구성과정을 통한 논증 활동
4.2. 논리적 모순의 확인과 보완을 통한 논증 활동
4.3. 지식과 정보의 통합과 토론을 통한 논증 능력 심화
5. 수업 활동과 과정 평가
6. 나오며
참고문헌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