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 실학자의 공부법과 한국사의 실학교육

제3~6차 교육과정기 『국사』 교과서의 실학 서술과 특징

원문정보

Practical Description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History Textbooks in the 3rd to 6th Curriculum in Korea

조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early 1970s, Korean history textbooks were nationalized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to strengthen national history education. Uniform history education was implemented during the period of publication of state-authored textbooks from the 3rd to the 6th curriculum, but if you look closely,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periods. In this article, the actu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ilhak’ descriptions in the 3rd to 6th curriculum Korean History textbooks were examined. It is notable that the practical description of the state-authored textbook was systematically and specifically written with considerable weight compared to other topics from the 3rd to the 4th. On the other hand, from the fifth round, the amount of description tends to decrease and the importance in terms of content tends to decrease. The evaluation of ‘Silhak’ itself also stated that ‘Silhak’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modern ideas in the 3rd and 4th curriculum Korean History or that its achievements are still being inherited and developed today, but the 5th and 6th Korean History mentioned that despite various reform aspects of ‘Silhak’, it was eventually shunned from real politics. This change is judged to be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academic research results on the 'Silhak' description. Since the 1980s, academia has begun to actively point out its limitations with a skeptical view of the modern nature of ‘Silhak’, and these research results have been reflected in the 5th and 6th curriculum Korean history textbooks published since the 1990s.

한국어

1970년대 초 국사교육 강화방침에 따라 『국사』 교과서는 국정화되었다. 제 3차부터 제6차 교육과정기에 이르는 국정 교과서 발행기에는 획일적인 역사 교육이 시행되었으나 자세히 살펴보면 시기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이글 에서는 제3차부터 제6차 교육과정기 『국사』 교과서의 실학 관련 서술 실태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국정 교과서기 실학 서술은 제3차부터 제4차까지는 다른 주제와 비교할 때 상당한 비중을 두고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집필된 것이 눈에 띈다. 반면 제5 차부터는 서술 분량이 줄고 내용면에서도 다소 중요도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 다. 실학 자체에 대한 평가 역시 제3차와 제4차 교육과정기 『국사』에서는 실 학이 “근대 사상의 형성에 기여”했다든가 그 성과가 오늘날에도 계승⋅발전 되고 있다고 기술했으나, 제5차와 제6차 『국사』에는 실학의 여러 개혁적인 면에도 불구하고 결국 현실 정치에서 외면당했다는 점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러한 변화는 실학에 대한 학계의 연구 성과가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1980년대 이후 학계에서는 실학의 근대적 성격에 대한 회의적 시각으로 그 한계점을 적극적으로 지적하기 시작했는데 이러한 연구 성과가 1990년대 이 후 발행된 제5차와 제6차 교육과정기 『국사』 교과서에 반영되었던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제3~6차 교육과정기 실학 관련 지침과 『국사』 교과서1.
1. 제3~6차 교육과정기 실학 관련 지침
2. 제3~6차 교육과정기 『국사』 교과서 실학 관련 구성
Ⅲ. 제3~6차 교육과정기 실학 서술 실태와 특징
1. 제3차 교육과정기: 실학 서술의 증가 및 체계화
2. 제4차 교육과정기: 실학 서술의 변화
3. 제5⋅6차 교육과정기: 실학 서술 내용 축소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조건 Cho, Geon.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