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가별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현황 탐색 및 시사점 분석

원문정보

Implication analysis through exploring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by country

이영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2022 revised curriculum emphasized basic literacy, which consists of language, numeracy, and digital literacy. This digital literacy is being presented in the curriculum as a goal for cultivating digital literacy in various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looked at the curriculum of countries with high digital literacy among students. And PISA 2018 data analysis was conducted on ICT elements of students by country. Specifically,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for each ICT element for country-by-country comparison. As a result, when organizing the curriculum related to digital literacy, it is necessary to organize it earlier than the present tim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tents to increase the usability in school.

한국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언어, 수리, 디지털 소양을 구성요소로 하는 기초 소양을 강조하였으며, 그 중 디지 털 소양을 함양하기 위해 모든 교과 교육을 통해 균형 있는 디지털 기초 소양 함양과 정보 교육과정과 연계한 방안을 제시하겠다고 하였다. 이러한 디지털 소양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가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함 양을 위한 목표로 교육과정에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높은 국가의 관 련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국가별 학생들의 ICT 요소에 대한 PISA 2018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국가별 비교를 위한 ICT 요소별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상관분석, 그리고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 과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된 교육과정을 편성할 때 현재보다 이른 시기로 편성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에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각 교과 및 정보 교육과정에서 내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2.1.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
2.2.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2.3. 국가별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현황
2.4. 선행연구 분석
3. 연구방법
3.1 분석자료
3.2. 변수설정
3.3. 연구도구
3.4. 자료분석
4. 연구결과
4.1. 국가별 PISA 2018 ICT 관련 요인에 대한 일원배치 분산분석 결과
4.2. 국가별 PISA 2018 ICT 관련 요인에 대한 상관분석
4.3. 한국의 PISA 2018 ICT 관련 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영호 Youngho Lee. 대구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