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on physical education classes until recently in the form of online classes and online and offline parallel classes in the COVID-19 situation for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who are the three main actors of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t the time of the post-coronavir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fter the post-coronavirus by analyzing the perception of For this purpo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of 6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metropolitan city B were subjected to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among non-stochastic sampling methods. As for the analysis metho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using the SPSS version 26.0 statistical program. In addition, two-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lass types (face-to-face, non-face-to-face) of the study subjects, and Tukey HSD was used as a post-hoc analysis.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data was set to α=.05,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In all sub-factors of importance, preferenc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in the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ccording to the class typ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hat 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perceived higher than non-face-to-fa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erms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awareness of face-to-face classes was high. It was found that teachers perceived face-to-face classes higher than non-face-to-face classes in importance, preferenc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class types. Parents also showed higher awareness of face-to-face classes than non-face-to-face classes in all areas of importanc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according to class type. Lastly, in the perception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o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the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was higher in the order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and the preference was higher in teachers and parents than in students. Therefore, alternatives should be prepared so that physical education classes are not passively conducted for the holistic growth and healthy lif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를 목전에 둔 시점에서 초등체육교육의 3주체인 학생, 교사 그리고 학부모를 대상으로 코 로나-19 상황에서의 온라인 수업과 온·오프라인 병행 수업의 형태로 진행된 최근까지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포스트 코로나 이후의 체육수업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광역 시에 위치한 6개 초등학교의 초등학생, 교사, 학부모를 비확률적 표집방법 중 편의표본추출방법으로 993명을 대상 으로 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version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질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 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수업형태(대면, 비대면)간 의 체육수업 인식도를 분석하기 위해 이원배치 분산분석(Two-way ANOVA)을 활용하였으며, 사후 분석으로 Tukey HSD를 활용하였다. 모든 자료의 유의 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초등학 생의 수업형태에 따른 체육수업 인식도에서 중요도, 선호도, 참여도, 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비대면 체육수업 보다 대면 체육수업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은 3학년이 6학년보다 선호도, 참여도, 만족도에서 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수업형태에 따라 중요도, 선호도, 참여도, 만족도에서 비 대면 수업보다 대면 수업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 역시 수업형태에 따라 중요도, 선호도, 참여도 만족도 모든 부분에서 비대면 수업보다 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생, 교사, 학부모의 대면과 비대면 수업의 인식에서 체육수업의 중요도는 교사, 학부모, 학생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선호도 는 교사와 학부모가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학생들의 전인적 성장과 건강한 삶 을 위해 체육수업이 소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대안 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5.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및 논의
1. 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면, 비대면 체육수업의 인식도
2. 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면, 비대면 체육수업의 인식도
3. 학부모의 연령에 따른 대면, 비대면 체육수업의 인식도
4. 학생, 교사, 학부모의 대면, 비대면 체육수업의 인식도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