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수원 화령전 운한각 단청에 사용된 채색 안료의 특성 분석

원문정보

A Study on Painting Characteristics by Analysis of Pigments Used in Unhangak Hall Dancheong in Hwaryeongjeon Shrine, Suwon

문성우, 이선명, 박종서, 강영석, 김지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microscopy investigation has been performed together with non-destructive component analysis to verify properties of pigments used in Unhangak Hall Dancheong in Hwaryeongjeon Shrine, Suwon. In addition, X-ray diffraction analysis, polarization mic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pigment specimens collected at the site. Dividing the Unhangak interior into areas and performing pigment property analyses has confirmed that the pigments Jusa, Jangdan, and Sukganju (iron oxide, red ocher) have been used for red colors. Jahwang, Gold, and Gamboge (organic pigments) have been used for yellows, the pigments Hayeob, Seokrok, Neorok, Samrok, and Chrome green have been used for greens, and Seogcheong and Heocheong have been used for blues. Baekto, Yeonbaek, Hobun, and Chalk have been used for whites, and Meog has been used for black. The inclusion of Chrome green (a modern pigment) among the pigments used to produce the Dancheong of Unhangak Hall has been confirmed. With this one exception, traditional pigments have been used. One unique property of the dancheong decorating Unhangak Hall include the use of higher than ordinary proportions of Jusa and Hayeob than is ordinarily found in traditional buildings. Another distinction is that expensive pigments including Seogcheong, Heocheong, Seokrok, Jusa, Jahwang, Gold, and Hayeob have been intensively used in worship spaces including the center compartment (Jeongkan) and Nae-hap. These pigments have been used over a coating of white primer (mostly Baekto, Yeonbaek, Hobun or Chalk) to improve choromaticity and color vibrance.

한국어

수원 화령전 운한각에 사용된 단청안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에서 확대현미경 조사, 비파괴 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수습한 채색시편을 X-선 회절분석, 편광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 분석을 실시하였다. 운한각 내부를 구역별로 나누고 안료특성을 조사한 결과, 적색 안료는 주사, 장단, 석간주(산화철, 주토), 황색안료는 자황, 금과 유기안료인 등황의 사용이 확인되었 다. 녹색안료는 하엽, 석록, 뇌록, 삼록, 크롬그린, 청색안료는 석청, 회청의 사용이 확인되었다. 백색 안료는 백토, 연백, 호분 또는 백악이 사용되었고 흑색은 먹이 사용되었다. 운한각의 단청안료는 일부 보수에 의해 뇌록 색상에서 현대안료인 크롬그린이 확인되었으나 이를 제외하고 대부분 전통안료가 사용되었다. 운한각에 사용된 단청안료는 주사와 하엽의 사용량이 일반적인 전통 건축물에 비해 높 은 편이다. 또한 정칸과 내합과 같이 주요 배례공간을 중심으로 석청, 회청, 석록, 주사, 자황, 금, 하엽 등과 같은 고가 안료가 집중적으로 사용된 점이 특징적이다. 단면분석 결과, 채색 안료는 발색도 와 채색 효율을 높이기 위해 대부분 백토, 연백, 호분 및 백악을 사용하여 백색 바탕칠을 하였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 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3.1. 안료 성분분석
3.2. 채색층 단면분석
4.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문성우 Seong Woo Mun. 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 이선명 Sun Myung Lee. 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 박종서 Jongseo Park. 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 강영석 Young Seok Kang. 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 김지선 Ji Sun Kim. 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