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 관한 교사 인식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 on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n Korean middle schools

김희규, 주영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of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EA) based on the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teacher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EA. To this end, we devised a survey tool consisting of 11 questions in four areas such as overall perception of the CEA,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CEA, curriculum linkage, and linkage of human and physical capital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A survey was conducted on 102 middle school teachers nationwide.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the achievement and purpose of the CEA in middle school was generally positive. Second, respondents were generally positive about the degree of school autonomy in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CEA in middle school, and they recognized the creative experience plan of nearby schools as important in selecting club activities, educational contents and activities for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hird, it was generally positive about the degree of subject linkage of the CEA in middle school and 46.5% of the linked subjects were concentrated o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s. Finally, respondents considered the time per subject for each teacher in assigning teachers for the CEA,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vious case of school was used for collecting information and utilizing human resources in the school.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lan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for the CEA in middle schools

한국어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인식에 기초한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현황 및 실태 분석과 창의적 체 험활동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에 관한 전반적 인식, 편성·운영, 교과 연계, 교내·외 인적·물적 자원 연계 등 네 영역의 11개 문항 으로 구성되는 설문 조사 도구를 구안하고, 전국의 102개 중학교 교육과정 담당교사와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①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목적·취지 달성도 는 대체로 긍정적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② 응답자들은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편성·운영의 학교 자율성 발휘 정도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며, 중학교 1학년 동아리활동, 교육내용 및 활동 선정에서 인근 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 계획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③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과 연계 정도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이었지만, 평균값이 3점대 초반에 불과하며, 연계 교과는 예·체능 교과에 46.5%가 집중되어 있었다. ④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교사 배정에서 교사 별 교과 주당 배정 시간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었으며, 학교 이전 편성 사례에 따른 정보 수집과 교내 인적 자원 활용에 주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창의적 체험활동의 의미와 특징
2. 창의적 체험활동 관련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1. 조사 대상 및 방법
2. 조사 도구
3. 자료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 관한 전반적 인식
2.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편성·운영
3.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과 연계
4.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내·외 인적·물적 자원 연계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희규 Kim, Hee-Kyu. 신라대학교 교수
  • 주영효 Joo, Young Hyeo. 경상국립대학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