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사협력,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 학교급에 따른 다집단 분석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llaboration, Job Stress,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 Multigroup Analysis by School Level

이혜령, 강호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llaboration, job stress,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nd to test model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o this end, among the survey response data of 6,138 Korean teachers (3,207 elementary school teachers, 2,931 middle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ALIS 2018, 6,072 data excluding missing values were finally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implemen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between variables, and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odel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llaboration, job stress,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showed consistent results with hypotheses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ex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Second, both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llaboration and job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n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path of teacher collaboration towards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path of teacher efficacy towards job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significant. However, the path from teacher collaboration to job stress and the path from job stress to job satisfaction were negatively significant. Especially, the effect of teacher collaboration on teacher efficacy was greater in elementary school than in middle school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ingle-mediated effects of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llabor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both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increasing teacher job satisfaction were presented.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협력,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 하고, 초등학교와 중학교 수준에 따른 모형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TALIS 2018에 참여한 한국의 교사 6,138명(초등교사 3,207명, 중학교 교사 2,931명)의 설문 응답 자료 중 결측치를 제외한 6,072개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변인들 사 이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Bootstrapping 방법을 시행하였고, 초등학교와 중 학교 간 모형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협력,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는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 감의 관계를 제외하고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한 가설과 일관된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교사협 력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모두 교사협력이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로 가는 경로와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로 가는 경로는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교사협력이 직무스트레스로 가는 경로와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로 가는 경로는 부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교사협력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초등학교가 중학교에 비해 크며 통 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교와 중학교 집단 모두 교사협력과 직무만족 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을 거치는 단일매개효과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없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사협력,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2. 교사협력,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3. 교사협력,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와 학교급별 차이
Ⅲ. 연구 방법
1. 연구 모형
2. 분석 자료
3. 변인 설정
4.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1.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 교사협력,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3. 교사협력,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4. 교사협력,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다집단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혜령 Lee, Hye Ryeong. 대구서재초등학교 교사
  • 강호수 Kang, Ho Soo. 경북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