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The Effect of Consumer Perception of Luxury Brands on Brand Loyalty - The Mediating Role of Brand Lov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gruity -

원문정보

럭셔리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지각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 사랑의 매개역할 및 자아일치의 조절효과 -

우누리, 최철재, 민대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e to the long-standing COVID-19 pandemic, non-fac e-to-face consumption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has b ecome common, and as the central axis of the market rap idly moves from offline to online market, existing offline companies face survival problems. Accordingly, tradition al retailers such as department stores are redefining sust ainable marketing strategies to overcome this. According to ACI Worldwide statistics, global online retail sales ros e 209% in April 2020. On the other hand, although overall sales decreased in the majority of department stores in Korea, sal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luxury department stores.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consumers' perception of luxury brands, such as brand reputation an d brand consciousness, on brand image and brand trust, and suggests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gruity am ong these variables, targeting those who have purchased luxury brands. In conclusion, brand reputation and brand consciousness both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image, brand reputation only affected brand trust, brand image and brand trust both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ve, and brand image and brand love had a positive effect on loyalty.

한국어

오랜기간 동안 지속된 코로나19 팬더믹으로 유통업의 경 우 비대면 소비가 일상화되면서 시장의 중심축이 오프라인 에서 온라인 시장으로 빠르게 이동하면서 기존 오프라인 업 체가 생존 문제에 직면하게 됐다. 이에 따라 백화점 등 전통 유통업체들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마케팅 전략 을 재정립하고 있는 상황이다. ACI 월드와이드 통계에 의하 면 2020년 4월의 경우 전 세계 온라인 소매 판매는 209% 상승을 기록하였다. 한편, 한국 백화점의 대다수에서 전체 매출 이 감소되었지만 명품관에서는 오히려 큰 폭의 매출증가세 를 보였다. 본 연구는 럭셔리 브랜드 구매 경험자를 대상으로 브랜드 명성, 브랜드 의식 등 소비자의 럭셔리 브랜드에 대한 지각의 정도가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 을 확인하고 이들 변수 간에 자아일치성의 조절효과를 제시 하였다. 결론으로, 브랜드 명성 및 브랜드 의식은 모두 브랜 드 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브랜드명성은 브랜드 신 뢰에만 영향을 주었고,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신뢰는 모두 브랜드 러브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브랜드 이미지 및 브랜드 러브는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Introduction
1.1. Research Background and Issues
1.2. Scope and Methodology of Study
2. Literature Review
2.1. Brand Reputation
2.2. Brand Consciousness
2.3. Brand Image
2.4. Brand Trust
2.5. Brand Love
2.6. Brand Loyalty
2.7. Self-Congruity
3. Research Model and Research Hypothesis
3.1. Establishment of Research Model
3.2. Establishment of Research Hypothesis
4. Research Design and Empirical Analysis
4.1. Operational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Variables
4.2. Analysi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ata and Respondents
4.3.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of Data
4.4. Testing Research Model Fit and Research Hypothesis
4.5. Moderating Effect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5. Conclusion
References

저자정보

  • 우누리 Baatarchuluun Unurjargal.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 최철재 Choi Chul Jae. 단국대학교, 경영학부
  • 민대규 Min Dae Gyu.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