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2022 개정 교육과정 의미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the Meaning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윤옥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s by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Research methods include literature research, surveys, and interview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background of the promotion has been revised to cultivate the competencies necessary for the future society and to strengthen the learner-tailored education. Second, what characterizes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s that it is being created in collaboration with people as a future-oriented curriculum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Third, the implementa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s being directed towards individuality and diversity, decentralization and autonomy, digitally based education, and public performance and accountability. Fourth, the principal contents are curriculum innovation in response to future changes, cultivating community values and capacity building for learners, strengthening education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develop digital and AI literacy, and strengthening the curriculum for all.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의미를 분석하고 다양한 쟁점 및 개선 방향을 종합 정리하여 이 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설문조사, 인터뷰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 추진 배경은 디지털 전환, 기후환경 변화, 학령인구 감소 등에 대응하여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함양하고 학습자 맞춤형 교육을 강화할 수 있도록 개정되었다. 둘째, 2022 개정 교육과정 특징은 역사 상 처음으로 ‘국민과 함께하는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셋째, 2022 개정 교육과정 추진 방향은 개별성 과 다양성, 분권화와 자율화, 디지털 기반 교육, 공공성과 책무성이다. 넷째, 2022 개정 교육과정 주요 내용은 미래 변화에 대응하는 교육과정 혁신, 학습자의 공동체 가치 함양 및 역량 강화, 초‧중‧고 학생 디지털 ‧ AI 소양 함양 교 육 강화, 모두를 위한 교육과정 강화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2022 개정 교육과정 의미 분석
1. 2022 개정 교육과정 추진 배경
2. 2022 개정 교육과정 특징
3. 2022 개정 교육과정 추진 방향
4. 2022 개정 교육과정 주요 내용
Ⅳ.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1. 2022 개정 교육과정 인식 정도
2. 2022 개정 교육과정 시대에 맞게 개정된 정도
3.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의미
4. 2022 개정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학교 현장에서의 필요한 준비
5. 2022 개정 교육과정 장점과 개선해야 할 사항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윤옥한 Yoon Ok Han. 정회원, 국민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