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f Sino-Korean Poetry in The Cloud Dream of the Nine by James Gale
제임스 게일 (James Scarth Gale)의 <구운몽> 삽입시 번역양상 고찰
초록
영어
This paper explores how James Gale translates Sino-Korean Poetry in The Cloud Dream of the Nine, an English version of Kim Manchung’s Kuunmong 九雲夢that has not been widely reviewed.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inserted romantic poems, this paper analyzes the translational characteristics of Gale’s Kuunmong, predicated on his translation perspectives, understanding of Sino-Poetry, and this genre’s functions in the novel. Original-text has a tendency to be transformed or refracted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under a wide variety of agents such as the goal of the translation, or Skopos, target-readers, translators’ principles, and genre. Recent scholarship on a multitude of Korean literature Gale translated in English, while elucidated in detail, mainly focuses on Prose texts rather than Poetry texts, meaning that what factors, when Gale translating Korean literature with the help of his Pundits, influenced his translation practices is to be re-examined. Did Gale interpret inserted romantic poems in The Cloud Dream of the Nine with specific attention to poetry’s textuality differing from that of Prose and these poems’ functions in the novel? What is features of his translated poetry texts? This paper addresses these questions, examining Sino-Korean Poetry in Gale’s Kuunmong.
한국어
이 글은 그 동안 주목받지 못한 제임스 게일(James Scarth Gale)의 <九雲夢> 英譯本소재 揷入詩의 飜譯樣相을 고찰한 것이다. 특히 남녀 간의 애정서사에 삽입된 漢詩를 중심으로 삽입시의 기능, 게일의 번역관, 그리고 그의 漢詩인식 등에 기초하여 다양한 층위에서 번역텍스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원천텍스트는 번역텍스트로 구현되는 과정에서 여러 요인에 의해 변형 (Transformation) 혹은 굴절(Refraction)된다. 예컨대 번역 목적, 즉 스코포스 (Skopos), 목표수신독자, 번역자의 번역관, 그리고 원천텍스트의 장르 등이 이에 해당한다. 현재까지 <九雲夢>을 포함한 제임스 게일의 여러 영역텍스트는 다각도 로 고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주로는 산문텍스트에 초점이 맞추어져있다. 때문에 그 가 한국 문학을 번역할 때, 자신이 견지한 번역관과 목표수신독자 이외에도 어떠한 요소가 그의 번역텍스트 생산에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서는 재고의 여지가 있다. 이 글에서 집중하고 있는 <九雲夢> 소재 삽입시는 도착언어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여러 요인의 개입을 받고 있다. 게일의 번역 원리를 포함한 한시라는 장르, 목표수신독자, 또 삽입시의 기능 등이다. 그렇다면 게일은 삽입시를 번역할 때 장르적 차별성을 유념하였을까? 전기소설의 특징 중 하나인 삽입시의 기능적 측면까지도 번역텍스트에 반영하였을까? 나아가서는 게일의 산문텍스트와 변별되는 운문 텍스트의 번역 원리는 무엇일까? 이 글은 이상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것으로, <구운몽> 삽입시를 대상 텍스트로 삼아 이를 분석한 것이다. 그 개략은 다음과 같다. 게일은 1차적으로 율시, 고시, 절구 등에 관계없이 원천 텍스트에 압운되어 있다면 이를 음절수 및 각운을 통해 번역텍스트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삽입시의 경우 그 기능까지도 고려하여 서사 전개 구조에서 개작이 필요할 시 번역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텍스트에 개입하였다. 그러나 주인공의 의사나 감정 을 전달하는 기능과 같이 개작이 필요 없을 경우, 자신의 번역관에 입각하여 목표 수신독자들의 텍스트 감상을 도모하고 문화적/지식적 간극을 좁히고자 ‘명시화’ 전 략을 통해 번역텍스트를 생산하였다.
목차
1. 들어가며
2. 게일의 번역 실천과 漢詩 인식
3. 여성과의 결연 및 이별 과정에 보이는 揷入詩 飜譯樣相
4. 게일의 漢詩 번역원리 –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