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무용소양의 구성요소와 핵심 개념 탐색

원문정보

Exploring the components and core concepts of Korean dance literacy

김연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ponents of Korean dance literacy and to explore key concepts and educational goals accordingly.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in-depth interviews (major/general art educators and learners), and expert meeting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components of Korean dance literacy consist of physical literacy, cognitive literacy, and aesthetic literacy. The core concepts of the components are 'breathing' for physical literacy, 'eyesight' for cognitive literacy, and 'empathy' for aesthetic literacy,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and basic steps to nurture Korean dance literacy. At the same time, the educational goal of cultivating Korean dance literacy can be achieved through 'sensing mind and body' that awakens the bod-ily senses through my breathing and 'movement training' to understand the breathing of movements in order to know 'breathing', the core concept of physical literacy. . Next, the educational goal of cognitive literacy is to form the core concept of 'eyes' through 'work search', which forms an eye for Korean dance works, and 'traditional analysis' to have a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 inherent in Korean dance. can be formed. Lastly, the educational goal of aesthetic literacy is to empathize with the core concept of 'empathy' through 'cultural sensibility' to empathize with the emotions of Korean dance on a personal and cultural level, and 'expression of beauty' to express my artistic sensibility through Korean dance. can form. Lastly, it is important for instructors to know exactly the components of Korean dance literacy for cultivating Korean dance literacy, and it is suggested that in-depth discussions on practical educational models and teaching methods are necessary for cultivating Korean dance literacy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무용소양의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핵심 개념과 교육 목표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으로 문헌 분석과 심층 면담(전공/일반 예술교육자와 학습자), 전문가 회의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는 첫째, 한국무용소양의 구성요소는 신체소양, 인지소양, 심미소양으로 구성된다. 구성요소의 핵심 개념은 신체소양은 ‘호흡’, 인지소양은 ‘안목’, 심미소양은 ‘공감’으로 나타나며, 이는 한국무용 소양 함양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단계이다. 이와 함께 한국무용소양 함양의 교육 목표는 신체소양 의 핵심 개념인 ‘호흡’을 알기 위해서는 나의 호흡을 통해 신체감각을 깨우는 ‘심신감지’와 동작의 호흡을 이해 하는 ‘동작수련’을 통해 이룰 수 있다. 다음으로 인지소양의 교육 목표는 핵심 개념인 ‘안목’을 형성하기 위해 한국무용 작품에 대한 안목을 형성하는 ‘작품탐색’과 한국무용에 내재한 사회, 문화적 안목을 갖기 위한 ‘전통 분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심미소양의 교육 목표는 핵심 개념인 ‘공감’하기 위해서 한국무용의 감성을 개인적, 문화적 차원으로 공감하기 위한 ‘문화감성’과 나의 예술적 감성을 한국무용으로 표현해내는 ‘유 미표현’을 통해 공감을 형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무용소양 함양을 위해 교수자가 한국무용소양의 구성 요소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며, 향후 한국무용소양 함양을 위해 실천적 차원의 교육 모형과 수업 방법에 관한 심층적 논의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참여자
3. 자료수집
4. 자료 분석
5. 연구의 진실성과 윤리
연구결과
1. 신체 소양
2. 인지 소양
3. 심미 소양
논의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연재 Kim, Yeon-Jae. 서울대학교,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