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_ 공적 신학과 선교적 책임

공공신학에 기초한 통전적 선교교육의 모색

원문정보

Seeking a Holistic Model of Mission Education in Dialogue with Public Theology

장신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essay aims to seek a holistic model of mission education in dialogue with public theology, as current mission faces various glocal challenges and risks such as the economic bipolarization caused by neoliberal capitalism, ecological crisis that resulted the current COVID-19 pandemic, arrival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rans-humanism, and emergence of a new cold war. The Korean church also faces various problematics and challenges from the inside and outside such as the individualistic and privatized approach to the Gospel, an inherited problem of prosperity theology, an inability to communicate with society, a loss of social trust and decline of its public image, the spread of atheism among young generation, and the emergence of a Nano society. New understandings of mission in missioloy— an emphasis of the publicity of the Gospel, a more expanded horizon of mission, a laity centered mission, the importance of local community in mission, and the emergence of metaverse as new field of mission—require an alternative model of mission and mission education. In response to these contemporary challenges and risks with holistic gospel, this essay attempts to reconceptualize traditional understandings of mission and, especially, to pose holistic mission education in dialogue with public theology. First, three traditions of public theology in the Scriptures and history of theology and church are discussed: 1) the formation of a just and equal community, 2) the transformation of unjust and unequal realities, 3) conversations with the world and an apology to the world through the Gospel. Grounded in these three traditions of public theology, this essay explore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public theology. The final section is devoted to presenting the aims of education, educational principles (contextual and hermeneutic principle, holistic principle, and principle of trinitarian praxis) and main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formation of mission spirit and studying Bible and theology, equipping with competence of formation of just and equal community, of transformation of unjust and unequal realities, and of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of Gospel).

한국어

본연구의 목적은 오늘의 선교를 향한 여러 국내외적 도전과 위기 상황 에 직면하여 공공신학과의 대화를 통하여 온전한 복음의 증언과 실천을 위 한 대안적 선교교육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지구적 차원의 도전과 위기 는 경제적 세계화로 인한 불평등의 양극화, 생태계의 파괴와 특히 그 결과 로 인한 코로나19 팬데믹 재앙, 트랜스휴머니즘의 도전, 새로운 땅끝 메타 버스의 출현, 신냉전 시대의 도래 등을 들 수 있다. 한국교회가 극복해 나 가야 할 위기와 도전은 복음의 사사화와 개인주의적 신앙, 번영신학의 폐 해, 교회의 대사회적 소통능력 상실, 대사회적 신뢰도 저하, 사회의 무종교 화 현상, 나노사회의 출현 등이다. 이와 더불어 선교개념의 확장, 지역사회 에 대한 관심, 평신도 중심의 선교, 세계기독교중심의 선교, 온라인-오프 라인을 융합하는 올라인 선교 등과 같은 선교에 대한 새로운 이해들도 대 안적 선교와 선교교육을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염두에 두고 본 연구는 하나님 나라의 통전적 복음을 지 향하는 가운데 공공신학과의 대화를 통하여 오늘의 한국교회를 위한 통전 적 선교교육을 모색한다. 먼저, 성서, 신학, 교회사에서 나타나는 공공신학 의 3가지 전통(정의롭고 평등한 공동체 형성, 불의한 현실 개혁, 복음의 변 증과 대화)을 고찰하고, 통전적 선교교육을 위한 신학적 기초로 오늘의 공 공신학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며, 마지막으로 이에 기초하여 통전적 선교교 육의 목적, 원리, 내용, 방법 등을 개괄적으로 제안한다.

목차

논문 초록
I. 들어가는 말 : 오늘의 상황과 통전적 선교교육에 대한 요청
II. 공공신학의 성서적, 신학적, 교회사적 전통
III. 공공신학과 통전적 선교교육을 위한 오늘의 공공신학
IV. 공공신학에 기초한 통전적 선교교육의 모색
V. 나가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신근 Shin-Geun Jang.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기독교교육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