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범죄자용 피해의식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원문정보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aranoid Ideation Scale for Criminals

남궁혜정, 노진아, 박우현, 정혜정, 이수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goal of establishing and validating a paranoid ideation scale for criminals who target criminals. Existing research have mentioned paranoid ideation multiple times in relation to crime, but there is a restriction in that most of them were evaluated using instruments employed in clinical settings. The study team aimed to create a paranoid ideation scale for offenders, anticipating that paranoid ideation would be a useful assessment variable for predicting recidivism or defining how offenders should be treated. As a result, 26 preliminary questions linked to “relational thinking,” “paranoid bias,” and “intention to hurt” included in the notion of paranoid ideation were chosen,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done on 1,142 offenders held in Korea correctional services around the country, with the three-factor structure proving to be the most suitable. However, the model was adjusted owing to insufficient appropriateness after complet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1,021 offenders in Korea correctional services around the country, and the final 18 questions and two component structure (interpersonal sensitivity, paranoid bias) were finished. There was a high positive connection of.50 or more in blame externalization, self-centered impulsivity, and stress immunity, virtuous responding, fearlessness dominance, and positive impression in the correlation study between the paranoid ideation scale and PAI and PPI-R. The paranoid bia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quaintances and strangers after running a t-test according to the paranoid ideation and the victim's relationship, implying that people with high paranoid ideation are more likely to commit crimes against strangers. The number of recidivism grew as the overall score of paranoid bias and paranoid ideation increased, which strongly predicted the number of recidivism,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criminal paranoid ideation used in this study was validated as a predictor of recidivism and a treatment decision maker.

한국어

본 연구는 범죄자를 대상으로 하는 범죄자용 피해의식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피해의식은 기존 연구들에서 범죄와의 관련성이 수차 례 지적되어 왔으나 대부분 임상 현장에서 사용하는 도구를 활용하여 측정 해왔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피해의식이 재범예측이나 범죄자의 처우 결정을 위한 중요 한 측정변수로써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범죄자용 피해의식 척도를 개발하 고자 하였다. 이에 피해의식의 개념에 포함되는 ‘관계사고’, ‘피해편향’, ‘가해의도’ 등과 관련한 26개의 예비문항을 선정하여 전국 교정시설에 수용된 범죄자 1,142명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요인 구조가 가장 우수한 적합도를 보였다. 그러나 2차로 전국 수용기관의 범죄자 1,021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 한 결과 적합도가 적절하지 못하여 모형을 수정하였으며 최종 18문항, 2요인(대인예 민성, 피해편향) 구조로 범죄자용 피해의식 척도를 완성하였다. 피해의식 척도와 PAI 및 PPI-R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비난의 외재화, 자기중심적 충동성, 부정적 인상에서 .50 이상의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스트레스 면역, 도덕적 반응, 대담성의 우세, 긍정적 인상에서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피해의식과 피해자관계에 따라 t-test를 실시 한 결과, 피해편향은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피해의식 이 높은 사람들은 모르는 사람을 대상으로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 사하였다. 피해의식이 재범횟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피해 의식 하위유형 중 피해편향과 피해의식 총점이 상승할수록 재범횟수가 높아지는 것 으로 나타나, 피해의식이 재범횟수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범죄자용 피해의식척도는 범죄 관련 예측과 처우 결정을 위한 척도로 써 활용 가능한 예측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목차

<요약>
Ⅰ. 피해의식 정의
Ⅱ. 피해의식 검사도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Ⅳ. 결과
1. 구인타당도
2. 탐색적 요인분석
3. 확인적 요인분석
4. 공인 타당도
5. 예측타당도
6. 신뢰도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남궁혜정 Hyechong Namgung.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박사과정
  • 노진아 Jinah Rho.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박사과정
  • 박우현 Woohyun Park.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박사과정
  • 정혜정 hyechung Chung.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박사과정
  • 이수정 Soojung Lee.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