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Exploring the character education contents of the 2015 curriculum literature education

원문정보

2015교육과정 문학교육의 인성교육적 내용 탐색

Jeon, Myong Sun

한국효학회 효학연구 제35호 2022.06 pp.107-128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personality competency factors of literature education presented in the 2015 curriculum, relate it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literature education, and suggest ways to strengthen the personality competency. Methodology/Approach: To this end, the Korean language personality competency was examined, the Korean language personality competency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e competency contained in the content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was explored. Findings/Conclus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Korean personality competency was extracted as individual factors (introspection: honesty, responsibility, autonomy), relational factors (communication: consideration, empathy, reconciliation), and social factors (cooperation: participation, cooperation). Second, the literary education content system was related to responsibility, honesty, participation, autonomy, consideration, empathy,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capacity. Third,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grades 3~4 of elementary school are honesty, autonomy, and competency;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grades 5~6 are honest, autonomy, responsibility, empathy, and cooperation;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middle school grades 1~3 include honesty, autonomy, empathy, consideration, reconciliation,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It was analyzed that honesty, autonomy, empathy,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competencies were includ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Implications: As a result, literature education is an education that helps to develop character competency, so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think about how to realize the character competency shown in the achievement standard in practical classe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present.

한국어

목적: 본 연구는 2015교육과정에 제시된 문학교육의 인성 역량 요소를 추출하여 문학교육의 성취기준과 관련지어 보고 인성 역량 강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론/접근: 이를 위해 국어 인성 역량을 고찰하여 국어 인성 역량 요소를 추출하고, 성취기준의 내용이 담고 있는 역량을 탐색했다. 결과/결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 인성 역량은 개인적 요소(자아성찰 : 정직, 책임, 자율), 관계적 요소(소통 : 배려, 공감, 화 해), 사회적 요소(협동 : 참여, 협력)로 추출하였다. 둘째, 문학교육 내용 체계는 책임, 정직, 참여, 자율, 배려, 공감, 화해, 협력 역량과 관련성이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3~4학년 성취기준은 정직, 자율, 책임 역량, 초등학교 5~6학년 성취기준에는 정직, 자율, 책임, 공감, 협력 역량이, 중학교1~3학년 성취기준에는 정직, 자율, 공감, 배려, 화해, 참여, 협력 역량이, 고등학교 1학년 성취기준에는 정직, 자율, 공감, 참여, 협력 역량이 내포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시사점: 이러한 결과로 문학교육은 인성 역량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되는 교육이므로 성취기준에 나타난 인성 역량을 실질적인 수업에서 어떻게 실현해 나갈 수 있을지 지속적인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과 문학교 육의 성취기준을 위계적인 인성 역량적 접근으로 바꾸어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목차

Abstract
요약
Ⅰ. 서론
Ⅱ. 국어과의 인성 역량
Ⅲ. 연구방법
Ⅳ. 문학교육 내용 체계와 국어 인성 역량 분석
Ⅴ. 문학교육 성취기준과 국어 인성 역량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Jeon, Myong Sun 전명순. Lecturer, MyongJi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