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미래 전승을 위한 아리랑 중등교육 점검 및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

원문정보

Arirang Secondary Education Inspection and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Plan for Future Transmission

이동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day, Arirang is mainly internalized through classes in the school field, especially to understand the value of Arirang as a cultural mediation that expresses Korean emotions and promote transition to the future. The importance of secondary education is highlighted, and the foundation is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measured how Arirang is implemented in 14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dentified the actual status of Arirang's field education through a survey, and sought to develop Arirang education contents that can be used in secondary education based on the curriculum. First, if we look at the music textbooks in middle school, in addition to the activities in the area of expression and appreciation in the textbook, classes related to daily life such as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related to Arirang, implementation of project classes, connection with local communities, Arirang in the world, and Arirang as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t was found that many of these are included and that more expanded forms of learning are included in the activities of the expression area. Based on this, 11 questions were organized and 44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on Arirang's educational status. And about 70% of respondents could not explain Arirang's origin, meaning, and cultural identity, 20.3% said Arirang could not be expressed in singing or instrumental music, and 6.9% did not learn Arirang in class.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reconsideration of Arirang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and made the justification for the production of Arirang education content. Arirang-related contents were already produced and used by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with Arirang songs, and various suggestions were discussed through prior research, but no curriculum-based content was developed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in the school field. Accordingly, the researcher suggested producing video materials introducing Arirang's origin, meaning, and cultural identity, organizing performance-type contents connecting Arirang in various regions, exploring Arirang-related local attractions and participating in events, and developing video education contents on the theme of Arirang consisting of several lessons. Arirang's learning through educational content is also highly related to the five key direction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general review and the aspects of the emphasis on subject education. Therefore, for Arirang-related education to be more effectively implemented in new curriculum-based textbooks to be developed next yea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must be preceded, which needs to be linked to active project promotion by local governments and other public institutions.

한국어

오늘날 아리랑은 주로 학교현장에서 수업을 통해 내면화되는데, 특히 한국인의 정서를 발현하 는 문화매개로서의 아리랑의 가치를 파악하여 미래로의 전승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중등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그 기초는 중학교 과정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 14종에 아리랑이 어떤 방식으로 수록되어 있는지를 가늠해보고, 설문조사를 통해 아리랑의 현장교육 실태를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중등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아리랑 교육 콘텐츠를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개발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살펴보면, 표현 및 감상 영역 활동 외에도 아리랑과 관련된 역사・문화적 배경, 프로젝트 수업 구현, 지역사 회와의 연계, 세계 속의 아리랑,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아리랑 등 생활화와 연관된 수업이 많이 수록되어 있으며, 표현 영역의 활동에서도 보다 확장된 형태의 학습을 수록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11개 문항을 구성하여 449명의 중 · 고등학생들에게 아리랑의 교육실 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아리랑의 기원, 의미, 문화정체성을 설명할 수 없는 응답자가 약 70%, 아리랑을 가창이나 기악으로 표현할 수 없다는 응답자가 20.3%, 아리랑을 수업시간에 배워보지 못한 응답자가 6.9%로 집계되었다. 이는 학교 현장에서의 아리랑 교육에 대한 재고의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아리랑 교육콘텐츠의 제작에 대한 당위성을 만들어주었다. 아리랑 관련 콘텐츠는 아리랑 노래를 보유한 지자체 및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이미 제작하여 활용중이었고 선행 연구를 통해서도 여러 제언들이 논의되어 있었지만,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한 교육과정 기반의 콘텐츠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연구자는 아리랑의 기원, 의미, 문화정체 성 소개 영상자료 제작, 다양한 지역의 아리랑을 연결한 공연형태 콘텐츠 구성, 아리랑 관련 지역 명소탐방 및 행사 참여 영상 구현, 여러 차시로 구성된 아리랑 주제의 영상교육 콘텐츠 개발을 제언하였다. 교육콘텐츠를 통한 아리랑의 학습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5가지 중점 방향 및 교과 교육 강조점의 측면과도 연관성이 높다. 따라서 내년부터 개발될 새로운 교육과정 기반 교과서에 아리랑 관련 교육이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에서 교육적 목적으 로 활용 가능한 콘텐츠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는 지자체를 비롯한 공공기관의 적극적인 사업 추진과 연결될 필요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음악교과서 내 아리랑 수록 현황
3. 설문조사를 통한 학교 현장에서의 아리랑 교육 실태 분석
4. 중등교육용 아리랑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동희 Lee, Dong-Hee. 국립국악고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