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of the generation Z workers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ir career succes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This study utilized the 2018 GOMS(2019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colle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5 latent profiles: Balance․amicability focused, rank․security focused, reward․security focused, expertise․rank focused, enjoyment․self-realization focused profile. In addition, the effects of major-job match and whether or not full-time worker on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each profile were significant.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urnover intentions between profiles. Based on the finding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Z세대의 경력성공 인식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식별하고, 프로파일 유형 분류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대학 전공일치도, 정규직 여부)과 각 프로파일별 이직의도 수준의 차이를 규명하 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한 ‘2019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2018GOMS: 2018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에서 표집한 Z세대 임금근로자 3,194 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력성공 인식에 따라 5개의 프로파일(균형․원만함 중심형, 지위․ 안정 중심형, 보상․안정 중심형, 전문성․지위 중심형, 즐거움․자아실현 중심형)이 식별되었고, 전공 일 치도와 정규직 여부는 프로파일에 속할 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5개 프로파일별 이직의도의 차이 를 살펴본 결과, ‘균형․원만함 중심형’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지위․안정 중심형’, ‘즐거움․자아실현 중심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Z세대 근로자의 경력성공 인식에 따른 인적 자원관리 방안에 대하여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Z세대 근로자
2. 경력성공 인식
3. Z세대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 요인 및 결과 요인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및 연구모형
Ⅳ. 연구결과
1. 잠재프로파일 유형 분석
2. 잠재프로파일 특징
3. 잠재프로파일 예측 변인
4. 잠재프로파일별 결과 변인 차이 비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