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1 : 제6차 교육과정기 역사교육과 국사교과서

제6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조선시대 서술 체제와 내용상의 특징

원문정보

Characteristics of Descriptive System and Contents in the Joseon Dynasty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for High Schools in the 6th Curriculum Period

이승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composition of Korean history textbooks in the 6th curriculum and the composition of units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analyze the descriptions of the Joseon Dynasty reflected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Korean history, which had been organized and operated as an independent subject until the 5th curriculum, was integrated into the social studies department from the 6th curriculum and revised to the area of Korean history in the social studies department. Despite the basic direction and composition policy of the revision to organize social studies in an integrated form, it was formally integrated into social studies due to the lack of conditions due to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But, in fact, it seems that it was taking the form of an independent subject as a subunit of social studies. In the case of high school history, as in the 5th curriculum, based on the learning of life history and political history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political, social, economic, and culture are understood in more depth in the universality of world history and the specificity of Korean history. In addition, although the standard for the serialization of high school contents is said to be cultural history-oriented, most of the contents described are listed in fragmentary facts without a proper concept of cultural history. In the case of learning materials, photos, pictures, historical materials, maps, and charts are presented in various ways, which are thought to have been useful for effective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content of the textbook, and to promote interest in local culture presented in the 6th curriculum. However, in the case of historical materials, it would not have been easy to confirm historical facts in past records and give historical meaning through social reconstruction at that time. Meanwhile, the 6th National History (Sang) 'Ⅴ'.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the part describing the modern times of the West and the East, which were not in the 5th national history textbook, appears at the beginning. This is also consistent with the nature of the 6th curriculum's national apology, which calls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each area in the universality of world history and the specificity of Korean history. However, there is no explanation for the relationship with modern society in Korea, and the concept of modernity is not explained, so it does not organically explain how the period of modernity is connected to individual topics, and it is only given meaning to the period just before modernity. In addition,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6th National History Textbook is a major chapter of Korean history (lower). It begins with 'the beginning of modern society'. This is also consistent with the nature of the 6th curriculum's national apology, which calls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each area in the universality of world history and the specificity of Korean history. However, this period is a period of 'orientation' as it progresses to modern society, and it has only modern elements, bu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it is exactly modern. The description and content of the 6th curriculum social studies and national history area based on the compilation criteria plan also contain several positive factors. However, in reality, it does not seem to have advanced to the level that will bring about qualitative changes in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without deviating significantly from the conventional system.

한국어

본 논문은 6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 편제의 배경과 조선시대 단원 구성 을 살펴보고, 실제로 국사교과서에 반영된 조선시대 관련 서술 내용을 분석 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5차 교육과정까지 독립교과로서 편제・운영되었던 국사는 6차 교육과정 부터 사회과에 통합되어 사회과의 국사 영역으로 개정되었다. 그러나 사회과 를 통합형으로 편제한다는 개정의 기본방향 및 구성방침에도 불구하고 통합 교과로의 구성과 운영에 따른 제반 여건의 미비로 인해 형식상으로는 사회과 에 통합되어 있었지만, 실제로는 사회과의 하부단위로서 독립된 교과의 형태 를 취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등학교 국사의 경우 5차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국민학교와 중학교에 서 생활사와 정치사를 중심으로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문화사와 사회・경제 사를 중심으로 정치・사회・경제・문화 등 각 영역을 세계사의 보편성과 한 국사의 특수성에서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고등학교 내용의 계열화 기준이 문화사 중심의 통사라고 되어 있지만, 사실 문화사에 대한 제대로 된 개념이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술된 내용의 대부분은 단 편적인 사실의 나열로 이루어져 있다. 교과서 외 본문에 있는 학습자료의 경우에는 사진 및 그림・사료・지도・ 도표 등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어서 교과서 본문의 역사적 내용의 효과적 이해를 돕고, 6차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향토사에 대한 관심과 향토 문화에 대한 애호심을 증진시키는 데에도 유용하게 이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사료의 경우 단순히 사진으로만 제시되어 있어서 과거의 기록에서 역사적 사 실을 확인하고 당시 사회상의 재구성을 통한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은 쉽지 않았을 것이다. 한편, 6차 국사 (상)의 ‘Ⅴ. 근세 사회의 발달’에서는 5차 국사교과서에서는 없었던 서양과 동양의 근세를 서술한 부분이 맨 처음에 등장한다. 이것은 각 영역을 세계사의 보편성과 한국사의 특수성에서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도 록 한다는 6차 교육과정의 국사과 성격과도 부합하는 것이다. 다만 한국의 근 세 사회와의 관련성에 대한 설명이 없고, 근세의 개념에 대한 설명이 되어 있 지 않아서 개별 주제들과 근세라는 시기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유기적으로 설명해주고 있지 못하며, 단순히 근대 직전의 시기로만 의미가 부여되고 있 다. 또한, 6차 국사교과서의 조선후기 관련 서술은 국사 (하)의 대단원 ‘Ⅰ. 근 대 사회의 태동’으로부터 시작되는데, 다만 이 시기는 근대 사회로 나아가면 서 ‘지향’해가는 시기로 근대적인 요소만을 가지고 있을 뿐 정확히 근대라고 말하기는 힘들다. 편찬 준거안에 기초한 6차 교육과정 사회과 국사 영역의 서술과 내용은 여 러 긍정적인 요소들도 내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종래의 체제에서 크게 벗 어나지 못한 채 교육과정의 운용에서 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정도의 수준까지 는 나아가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국사교과서 편찬 준거안과 조선시대 서술체
Ⅲ. 국사교과서 조선시대 서술 내용과 특징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이승민 Lee, Seung-Min.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