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1 : 제6차 교육과정기 역사교육과 국사교과서

제6차 교육과정기(1992~96)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고려 시대 내용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the Contents related to the Goryeo Dynasty of the National History(國史) Textbook in the 6th Curriculum Period(1992~96)

이명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review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Goryeo Dynasty in the 6th curriculum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 National History. The criteria for review are three, which are presented as basic directions and main points in the process of revising the 6th curriculum on Korean history. 1.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National History textbooks(6th), the difference between school levels seems to be more evident than before in terms of the content system, and the point of difference between school levels was confirmed by adding items or in-depth explanations. However, it did not secure enough differentiation to bring about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method and content of education. 2. In parallel with the change of reorganization into social studies, Korean history curriculum(6th) aimed at cultivating a “spirit of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as a membe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e “social reality that opens up internationally.” For these goals, the high school National History emphasized world history education by adding a new unit whose contents were fragmentary about the Middle Ages of the East and the West and not enough to help understand the Middle Ages of Korea. And the explanation of the Eastern Middle Ages, which was biased toward Song(宋) Dynasty, was insufficient as an explanation of neighboring countries that had relations with Goryeo. Meanwhile, the unit related to Goryeo’s external relationship is judged to have been a content composition that did not match th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by describing the relationship with Lioa(遼), Jin(金) and Yuan(元), which maintained a long-term relationship with Goryeo, highlighting only the conflict. 3. Regarding the cultivation of historical thinking skills, the textbook National History(6th) contained more auxiliary materials than before, which seems to have little to do with the cultivation of ‘historical thinking skills’. In the description of the Goryeo Dynasty in the National History textbooks,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use of terms related to value evaluation or the description of propositions lacks rigor. This is an obstacle to making students understand the history research process behind the historical proposition,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historical thinking. It is noted that these examples are related to another direction of history education, which is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national history. The above review shows that the goal of history education, which was suggested as the basic direction in the Korean history curriculum(6th), was not substantial in terms of content compared to its orientation. And it shows that this is the result of another direction of history education, which is said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national history.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6차 교육과정기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고려 시대 관 련 부분 내용을 검토했다. 검토의 기준은 6차 교육과정 국사 교과 각론 개정 과정에서 기본방향 및 주안점으로 제시된 학교급별 계열성 확보, 시민 교육 을 위한 내용과 체제 마련, 역사적 사고력 중심 교육 지향 세 가지이다. 1. 6차 교육과정기 중학교 『국사』 와 고등학교 『국사』 에서는 각기 통사적 단원 편성과 분류사적 단원 편성을 취했다. 내용 체계에서 학교급 간 차별성 이 이전에 비해 잘 드러난 것으로 보이며, 내용 구성에서도 항목이나 심화 설 명 추가를 통해 학교급 간 차별성을 두고자 한 지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교육의 방식과 내용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가지고 올 정도의 차별성을 확 보한 것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2. 사회과로의 재편입이라는 변화에 병행해서, 6차 교육과정 국사 교과는 “국제적으로 개방화되는 사회 현실” 속에서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서 상호 이 해하고 협력하는 정신”을 함양을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는 새로운 단원을 추가하며 세계사 교육을 강조했지만, 해당 단원의 내 용은 동양과 서양의 중세에 대한 단편적 설명에 그쳐 한국의 중세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에는 부족했으며, 한족 왕조인 송에 대한 설명에 치우친 동 양 중세에 대한 설명은 고려와 관계를 맺은 주변국에 대한 설명으로서도 부족 한 면모를 보였다. 한편, 고려의 대외관계와 관련한 단원은 고려와 장기간 관 계를 유지했던 요, 금, 원과의 관계를 갈등 국면만을 부각해서 서술함으로써, 역시 교육과정의 방향성에 부합하지 않는 내용 구성이었다고 판단된다. 3. 역사적 사고력 함양과 관련한 장치로, 6차 교육과정기 중학교 『국사』 교과서는 이전에 비해 많은 <학습의 도움글>을 실었지만, 그 기대효과는 거의 없어 보인다. 한편, 6차 교육과정기 중·고등 『국사』 교과서의 고려 시대 관련 서술에서는 가치 평가나 명제 서술과 관련된 용어의 사용이 엄격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는 학생들이 역사적 명제 이면의 역사 연구 과정, 달리 말해 역사적 사고의 과정을 이해하도록 하는 데에 장애가 된다. 이러한 사례들이 민족사의 발전적 이해라는 역사교육의 방향성과 관련된다는 점이 유의된다. 이상의 검토는 6차 교육과정 국사 교과에서 기본방향으로 제시한, 시민 교 육 혹은 역사적 사고력 함양 교육으로서의 역사교육이라는 방향성이 그 지향 에 비해 내용 면에서 내실을 갖추지 못했으며, 이는 민족사의 발전을 체계적 으로 이해한다고 하는, 또 다른 역사교육의 방향성이 영향을 미친 결과임을 보여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중학교 『국사』와 고등학교 『국사』의 내용 체계
1. 내용 체계의 차별성
2. 내용 구성의 차이점
3. 목차와 내용의 관계 : 부적절한 조합
Ⅲ. 『국사』 교과서 속의 한국사와 세계사
1. <중세의 세계>와 <한국의 중세 사회>
2. 고려와 주변국의 관계를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가?
Ⅳ. 역사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고려시대사 서술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이명미 Lee, Myung-Mi. 경상국립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