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establishment and nature of the national history curriculum during the 6th curriculum period, which is relatively insufficient in research compared to national history education during other curriculum periods. This is due to the preconceived notion that the 6th curriculum succeeded the 5th curriculum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ts characteristics. However,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curriculum for the national history subject, the so-called ‘People's view of history’ arose, which caused a great social controversy, so it can be said that society's interest in national history education was very grea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meaningful to find out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history curriculum and its nature at this time. Howeve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irection of compilation has changed considering the historical and educational viewpoint and national viewpoint, despite the fact that the national history curriculum at this time was based on reflecting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historical academic community. However, the historical and educational viewpoint and national viewpoint are ultimately the viewpoints of the government and vested interests. It can be said that this shows the nature of history education in this period as it is.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table of contents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adopted after numerous discussions and meetings were changed during the authoring process. This can be said to suggest that a third influence played a role in the authoring of the national history textbooks during this period. It is said that the curriculum, which was confirmed through a set procedure, was damaged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is can be said to be a point to pay attention to in relation to the direction of national history education at this time.
한국어
본고는 여타 교육과정기의 국사교육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진한 제 6차 교유과정기 국사과 교육과정의 성립과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이는 제6 차 교육과정이 제5차 교육과정을 계승하여 그 성격에 차이가 크지 않다는 선 입견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실제 이 시기 국사과 교육과정이 마련되는 과정에서 이른바 ‘민중사관’ 문제가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크게 논란이 발생할 정도였으므로 국사교육에 대한 사회의 관심은 매우 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시기 국사과 교육과정의 성립 과정과 그 성격에 대한 구명은 의미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이 시기 국사과 교육과정은 역사학계의 연 구 성과를 반영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음에도 불구하고 역사·교육적 관점과 국민적 관점을 고려하여 편찬 방향이 변화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역사·교육적 관점과 국민적 관점은 결국 정부와 기득권 세력의 관점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이 시기 역사교육의 성격을 그대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수차례에 걸친 토론과 회의를 거쳐 채택된 교육과정의 목차와 내용이 집필 과정에서 변경된 경우도 확인된다. 이는 이 시기 국사교과서 집필에 제3 의 입김이 작용하였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정해진 절차를 거쳐 확정된 교육과정이 집행과정에서 훼손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이 시기 국사교육 의 방향과 관련하여 주의해야 할 지점이라 할 수 있다.
목차
Ⅱ. 제6차 국사과 교육과정의 성립
Ⅲ. 제6차 국사과 교육과정의 성격 - 「국사교육 내용전개 준거안」을 중심으로 -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